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잠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90 페이지 / 전적]

「倏忽」―儵忽과 같은데 빠르다는 뜻임。楚辭九歌少司命에「倏而來兮忽而逝」라는 句가있음。

잠농(蚕農)[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3 페이지 / 전적]

누에농사.

잠농(蠶農)[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9 페이지 / 전적]

누에농사.

잠농(蠶農)[냥신낙사가(냥신낙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누에 농사.

잠농(蠶農)[노졍긔 12 페이지 / 전적]

누에 농사.

잠농(蠶農)[냥신낙사가(냥신낙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누에 농사.

잠농(蠶農)[노졍긔 12 페이지 / 전적]

누에 농사.

잠농(蠶農)[나부가라(라부가라) 6 페이지 / 전적]

누에농사.

잠두(蠶頭)[셔유곡 15 페이지 / 전적]

누에머리(산봉우리의 한쪽이 누에의 머리 모양으로 쑥 솟은 산꼭대기).

잠룡(潛龍)[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八)8 63 페이지 / 전적]

世子를 말함. 古代에 龍을 君上에 비유하였으므로 登極하기 이전에 쓰는 말임. 易 乾에 「潛龍勿用」이 있음.世子를 말함. 古代에 龍을 君上에 비유하였으므로 登極하기 이전에 쓰는 말임. 易 乾에 「潛龍勿用」이 있음.

잠룡물용(潛龍勿用)[막소가(莫笑歌) 12 페이지 / 전적]

물에 잠겨있는 용은 쓰지 말라'는 뜻으로 인격을 갖추지 못하면 뜻을 펼치지 말아야 함을 일컫는다.즉, 아직 때가 이르지 않았다면 더 배우고 힘을 기르며 때를 기다려야 함을 이른다.

잠부[석천집(石川集二-五)2-5 10 페이지 / 전적]

후한(後漢)의 왕부(王符)는 십권 삼십 오편의 잠부론(潛夫論)을 지어 세상에 용납되지 못함에서 분을 일으켜 당시의 폐정을 신랄하게 논박하였다.

잠부(潛夫)[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10 페이지 / 전적]

王符는 東漢 臨涇人인데 사람됨이 耿介하여 流俗에 휩쓸리지 않고 志氣가 蘊積하여 숨어살며 著書하여 當時의 得失을 譏評하였는데 그 이름을 드러내지 않고자하여 潛夫論이라 하였음.

잠부자가(岑夫子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5 페이지 / 전적]

「岑夫子」―梣을 岑으로 바꾸어 旣存의 岑夫子란 名稱을 빌려 歌를 지은 것임. 李白의 將進酒에「岑夫子丹丘生 與君歌一曲」의 句가 있음.

잠사(梣差)[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45 페이지 / 전적]

梣槎」―木集 第四卷에 실린 岑夫子歌에 상세히 나타나 있는데, 梣木의 등걸임.

잠시(暫時)[북쳔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잠깐.

잠시간(暫時間)[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9 페이지 / 전적]

짧은 시간 동안.

잠시간(暫時間)[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9 페이지 / 전적]

짧은 시간 동안.

잠실(蚕室)[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9 페이지 / 전적]

누엣 간. 누에를 치는 방.

잠심(潛心)[몽즁운동가 6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에 마음을 두어 깊이 생각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