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지척咫尺[ 1 페이지 / ]
매우 가까운 거리
지척咫尺[ 1 페이지 / ]
매우 가까움.
지척동서(咫尺東西)[추풍감곡(秋風感曲) 4 페이지 / 전적]
아주 가까운 거리.
지천[여행록이라(여녹이라) 5 페이지 / 전적]
지청구(아랫사람의 잘못을 꾸짖는 말)의 사투리.
지체[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0 페이지 / 전적]
어떤 집안이나 개인이 사회에서 차지하고 있는 신분이나 지위.
지체[한양가라 43 페이지 / 전적]
세벌(世閥)과 같은 뜻으로 어떤 집안이나 개인이 사회에서 차지하고 있는 신분이나 지위를 말한다.
지체(止滯)[충효가(忠孝歌) 7 페이지 / 전적]
멈추고 막힘.
지체(止滯)[충효가(忠孝歌) 31 페이지 / 전적]
막힘이 없음.
지체(至滯)[일회심곡(一回心曲) 3 페이지 / 전적]
지체(遲滯)를 잘못 쓴 것으로 때를 늦추거나 질질 끎.
지체(遲滯)[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8 페이지 / 전적]
때를 늦추거나 질질 끎.
지체(遲滯)[한양가라 45 페이지 / 전적]
때를 늦추거나 질질 끔.
지체(遲滯)[갑지녹이라 1 페이지 / 전적]
머물러 있음.
지쳑[ 1 페이지 / ]
지척咫尺. 매우 가까운 거리.
지초(芝草)[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5 페이지 / 전적]
採芝種桃」―採芝는 秦世의 亂을 避하여 商山에 숨은 四皓를 이름이요, 種桃는 武陵桃源의 避秦한 사람을 말한 것임.
지출(芝朮)[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4 페이지 / 전적]
「千年朮」 ― 사람으로 하여금 長生不老하게 하는 樂草를 말함.
지츅은[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3 페이지 / 전적]
꾸지람은 ‘지츅’ 은 ‘지청구’ 의 뜻일 듯함.
지친[소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지친(至親). 가까운 피붙이. 부자지간이나 형제 사이를 이르는 말이다.
지친(至親)[경게가라 15 페이지 / 전적]
매우 친함.
지친(至親)[경게가라 14 페이지 / 전적]
매우 친함.
지친(至親)[여자석별가 16 페이지 / 전적]
가까운 친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