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지정간(至情間 )[효자가 5 페이지 / 전적]

부모나 친척 등 지극히 가까운 사이.

지정지간(至情之間) 노정(怒霆)[ 1 페이지 / ]

지극히 정분이 가까운 사이. 노뢰(怒雷). 성난 우뢰.

지정지간(至情之間) 노정(怒霆)[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4 페이지 / 전적]

지극히 정분이 가까운 사이. 노뢰(怒雷). 성난 우뢰.

지졍여쎠 문을열고[복션화음록 17 페이지 / 전적]

진정(鎭靜)해서 문을 열고.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혀서 문을 여닫으라는 말.

지족당(知足堂)[옥산가라 25 페이지 / 전적]

조선 연산군 때의 문관인 조지서(趙之瑞). 자는 백부(伯符), 호는 지족당(知足堂), 본관은 임천(林川), 감찰 찬(瓚)의 아들. 1474년(성종 5) 생원에 합격, 진사에 2등으로 합격하고 그해에 문과에 급제, 후에 중시(重試)에 장원. 1504년 갑자사화를 당해, 세자 때에 그의 풍간(諷諫)함과 집요한 진강(進講)을 혐오했던 연산군의 기휘(忌諱)로 이에 연루되어 참살됨.

지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1 페이지 / 전적]

「和止酒」―晋 陶淵明이 일찌기 止酒詩를 지은 것이 있어 이를和作한 것임.

지주(指嗾)[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9 페이지 / 전적]

달래고 꾀어서 무엇을 하도록 부추김.

지주(指嗾)[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9 페이지 / 전적]

달래고 꾀어서 무엇을 하도록 부추김.

지주(指嗾)[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9 페이지 / 전적]

달래고 꾀어서 무엇을 하도록 부추김.

지주(指嗾)[대명복수가(명복수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달래고 꾀어서 무엇을 하도록 부추김.

지주(指嗾)[대명복수가(명복수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달래고 꾀어서 무엇을 하도록 부추김.

지주(知主)[길자가(吉字歌) 3 페이지 / 전적]

주(주인)를 알다.

지주(知主)[정도선림하정씨가(正道仙林下鄭氏歌) 1 페이지 / 전적]

주(주인)를 알다.

지주(砥柱)[석천집(石川集二-三)2-3 125 페이지 / 전적]

원래는 산 이름. 산서성(山西省) 평륙현(平陸縣) 동남쪽에서 출발해서 황하강 중류에서 남쪽으로 하남성(河南省)과 닫게 된다. 황하강의 가운데 있으면서도 격류에 조금도 움직이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난세(亂世)에 절조를 지키는 사람으로 비유된다.

지주비[팔역가(八域歌) 28 페이지 / 전적]

중국 황하 가운데 있는 바위인데, 아무리 물결이 세도 그 곳을 잘 지키고 있다는 뜻에서 지조가 굳음의 상 징

지주산[석천집(石川集二-二)2-2 28 페이지 / 전적]

황하 가운데 있는 산인데, 격류 속에 있으면서 조금도 움직이지 않는다. 난세에도 절조를 지키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지중(至重)[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8 페이지 / 전적]

더할 수 없이 중요함.

지중(至重)[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8 페이지 / 전적]

더할 수 없이 중요함.

지중(至重)[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0 페이지 / 전적]

더할 수 없이 중요함.

지중(至重)[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8 페이지 / 전적]

더할 수 없이 중요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