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지중(至重)[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8 페이지 / 전적]
더할 수 없이 중요함.
지중(至重)[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0 페이지 / 전적]
더할 수 없이 중요함.
지중(至重)[고분가 26 페이지 / 전적]
더할 수 없이 귀중하다.
지중(至重)[고분가 26 페이지 / 전적]
더할 수 없이 귀중하다.
지중(至重)[벽천가 18 페이지 / 전적]
지극히 귀중하고 무거움.
지중(至重)하여[이화가젼 3 페이지 / 전적]
지극히 귀중하여.
지중(至重)하여[이화가젼 3 페이지 / 전적]
지극히 귀중하여.
지중추부사[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27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일정한 관직이 없는 당상관(정3품)들을 우대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청인 중추부의 2품 관직. 본래는 군사 일을 맡는 관청이었으나 병조와 승정원에 그 임무가 넘어가면서부터 유명무실해졌다.
지증왕(智證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8 페이지 / 전적]
신라 제22대 왕(437~?). 성은 김(金). 이름은 지대로(智大路)ㆍ지도로(智度路)ㆍ지철로(智哲老). 국호를 신라로 정하고 왕이라는 칭호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순장법(殉葬法)을 금하고 농사를 장려하여 우경법(牛耕法)을 처음으로 시행하였으며, 울릉도를 점령하여 국토를 개척하고, 중국식을 따라 왕에게 시법(諡法)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지지(地支)[해몽가라(몽가라) 3 페이지 / 전적]
십이지지(十二地支) 또는 십이지(十二支)라고도 함. 천간과 함께 간지를 이루며,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를 말함.
지지(止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0 페이지 / 전적]
「之純」-文王의 德을 형용한 말임. 周頌維天之命에 「於乎不顯文王之德之純」이 있고, 「止止」는 詩經大雅 文王에 「穆穆文王於緝熙敬止」라는 句가 있음.
지지(知止)[충효가 6 페이지 / 전적]
남극엽의 선대인 지지당 남포를 이름. 남포는 기묘사화의 주역 남곤의 아우. 청맹 행세를 하며 권세를 멀리하여 화를 면하고 후세의 칭송을 받았다고 함.
지지박색(薄色)[자심운수가(심운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얼굴이 매우 못 생긴 여자.
지지엽엽(枝枝葉葉)[수연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가지마다 잎마다.
지지엽엽(枝枝葉葉)[수연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가지마다 잎마다.
지지엽엽(枝枝葉葉)[사향곡(향곡) 9 페이지 / 전적]
가지마다 잎마다
지지엽엽(枝枝葉葉)[용담가 5 페이지 / 전적]
가지면 가지, 잎이면 잎마다.
지지엽엽(枝枝葉葉)[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1 페이지 / 전적]
가지면 가지, 잎이면 잎마다.
지지엽엽(枝枝葉葉)[용담가라 7 페이지 / 전적]
가지마다 잎새마다.
지지지지(知之知之)[청림도사궁을전(靑林道士弓乙傳) 6 페이지 / 전적]
지지(知之)란 안다는 것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