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지전(知殿)[정토발원문(淨土發願文) 21 페이지 / 전적]
불전(佛殿)을 소제하고, 향(香)이나 등(燈)같은 예불(禮佛)에 대한 일체를 맡은 소임. 문맥상 그 역할을 하는 불전을 말하는 듯함.
지전(知殿)[초암가 2 페이지 / 전적]
불전(佛殿)을 소제하고, 향(香)이나 등(燈)같은 예불(禮佛)에 대한 일체를 맡은 소임. 문맥상 그 역할을 하는 불전을 말하는 듯함.
지전(紙錢)[곽씨세덕가문니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돈 모양으로 오린 종이. 죽은 사람이 저승 가는 길에 노자(路資)로 쓰라는 뜻으로 관 속에 넣음.
지절(志節)[합셩가라 7 페이지 / 전적]
지조(志操)와 절개(節槪ㆍ節介).
지절(志節)[합셩가라 7 페이지 / 전적]
지조(志操)와 절개(節槪ㆍ節介).
지절(志節)[합셩가라 7 페이지 / 전적]
지조(志操)와 절개(節槪ㆍ節介).
지절(志節)[합셩가라 7 페이지 / 전적]
지조(志操)와 절개(節槪ㆍ節介).
지절(志節)[길경가라 1 페이지 / 전적]
지조(志操)와 절개(節槪ㆍ節介).
지절(志節)[서양예수재자말삼(서양예수자말삼) 5 페이지 / 전적]
지조(志操)와 절개(節槪ㆍ節介).
지절(志節)[션화안논새가(션화안논가) 1 페이지 / 전적]
지조(志操)와 절개(節槪ㆍ節介).
지절(志節)[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8 페이지 / 전적]
지조와 절개를 아울러 이르는 말.
지절원사(志節冤死)[임잃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님일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 6 페이지 / 두루마리]
절개를 지키다 원통하게 죽음.
지절원사(志節冤死)[임잃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님일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 6 페이지 / 두루마리]
절개를 지키다 원통하게 죽음.
지절하다가[초한가라 11 페이지 / 전적]
더없이 간절하다.
지점(指點)[의향소창가 30 페이지 / 전적]
손가락으로 가리켜 보임.
지점(指點)[리행소챙가 18 페이지 / 전적]
손가락으로 가리켜 보임.
지점(指點)[답사향곡(답향곡) 3 페이지 / 전적]
손가락으로 가리켜 보임.
지접(止接)[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9 페이지 / 두루마리]
몸을 붙이어 의지함.
지접(止接)하리[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4 페이지 / 전적]
어떤 곳에 몸을 붙이어 의지하리.
지접(止接)하리[상사가라 8 페이지 / 전적]
머물러 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