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지금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2 페이지 / 전적]

「翔鸞彩鳳」―鳳凰은 竹實이 아니면 먹지 않는다는 말이 있으므로 引用한 것임.

지기 청탁(志氣淸濁)[자경별곡 15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을 이루려는 의지와 기개. 맑음과 흐림. 옳음과 그름.

지기(志氣) 청탁(淸濁)[ 1 페이지 / ]

어떤 일을 이루려는 의지와 기개. 옳음과 그름.

지기(志氣) 청탁(淸濁)[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2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을 이루려는 의지와 기개. 옳음과 그름.

지기(志氣)[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2 페이지 / 전적]

기지(氣志). 어떤 일을 이루려는 의지와 기개.

지기(志氣)[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24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을 이루려는 의지와 기개.

지기(知己)[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6 페이지 / 전적]

지기지우(知己知友)의 준말. 마음을 잘 알아주는 참다운 친구.

지기석(支機夕)[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2 페이지 / 전적]

支機石인데 織女의 베틀 고인 돌을 말함.織女의 故事를 引用한 것임.宋之問의 明河篇에 「更將織女支機石 還訪成都賣卜人」이 있음.

지기지우(知己之友)[수지장제일 3 페이지 / 전적]

서로 마음이 통하여 자신을 알아주는 벗.

지기지우(知己之友)[명륜가(明倫歌) 100 페이지 / 전적]

자기(自己)를 가장 잘 알아주는 친한 친구.

지기지우(知己之友)[의향소창가 31 페이지 / 전적]

자기를 잘 알아주는 참다운 친구.

지기지우(知己之友)[리행소챙가 19 페이지 / 전적]

자기를 잘 알아주는 참다운 친구.

지기지우(知己之友)[창덕가2 67 페이지 / 전적]

자기의 속마음을 참되게 알아주는 친구.

지기지우(知己之友)[창덕가2 68 페이지 / 전적]

자기의 속마음을 참되게 알아주는 친구.

지나가는 구름~머물까 두렵구나[관동별곡 13 페이지 / 전적]

애백의 시<등금릉봉황대(登金陵鳳凰臺)>에 나오는 “모두 뜬구름이 되어 해를 가리니 / 장안마저 볼 수 없어 사람으로 하여금 근심케 하네(總爲浮雲能蔽日 長安不見使人愁)”를 인용한 구절로서, 뭇 간신배들이 임금의 총명을 흐리게 할까 염려된다는 의미.

지난(至難)[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지극히 어렵다.

지남거(指南車)[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55 페이지 / 전적]

「指南車」―黃帝가 蚩尤와 더불어 涿鹿의 들에서 싸우는데 蚩尤가 큰 안개를 일으켜서 將兵이 모두 四方에 희미하므로 黃帝는 이에 指南車를 지어 方向을 보여주었음.

지남지북(之南之北)[자탄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남쪽으로도 가고 북쪽으로도 감.

지남지북(之南之北)[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4 페이지 / 전적]

남쪽으로 가고 북쪽으로 감.

지남지북(之南之北)[여자석별가 10 페이지 / 전적]

남쪽으로도 가고 북쪽으로도 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