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증점(曾點)[리행소챙가 8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 증참의 아버지.
증점(曾點)[황남별곡(黃南別曲) 19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의 제자로 증자(曾子)의 아버지.증석(曾晳)이라고도 함.
증점슬(曾點瑟)[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10 페이지 / 전적]
증점슬(曾點瑟)[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10 페이지 / 전적]
증제(拯濟)[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3 페이지 / 전적]
건져 구제(救濟)함.
증제(拯濟)[연행별곡(연별곡) 23 페이지 / 전적]
건져 구제(救濟)함.
증증예(烝烝乂)[양친가(養親歌) 3 페이지 / 전적]
어짐으로 차차 다스려서
증직(贈職)[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죽은 뒤에 품계와 벼슬을 추증하던 일. 종이품 벼슬아치의 부친, 조부, 증조부나 충신, 효자 및 학행(學行)이 높은 사람에게 내려 주었다.
증직(贈職)[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4 페이지 / 전적]
죽은 뒤에 품계와 벼슬을 추증하던 일을 이른다. 종이품 벼슬아치의 부친, 조부, 증조부나 충신, 효자 및 학행(學行)이 높은 사람에게 내려 주었다.
증참(證參)[종매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증거, 혹은 증인으로 참석하는 일.
증청(澄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8 페이지 / 전적]
「澄淸」―范滂의 故事를 借用한 것임. 위의 范轡註에 나타나 있음.
증험(證驗)[권학가 8 페이지 / 전적]
실지로 사실을 경험함.
증험(證驗)[옥산가라 9 페이지 / 전적]
실지로 사실을 경험함. 또는 증거로 삼을 만한 경험. 시험해 본 효험.
증[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9 페이지 / 전적]
증삼(曾參). 춘추시대 노(魯)나라 사람. 공자의 제자로 높여서 증자(曾子)라고 한다.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공자의 학설을 자사(子思)에게 전했다.
증[시조(詩調) 1 페이지 / 전적]
증삼(曾參). 춘추시대 노(魯)나라 사람. 공자의 제자로 높여서 증자(曾子)라고 한다.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공자의 학설을 자사(子思)에게 전했다.
지(智),우(愚)와 현(賢),불초(不肖)의 과(過), 불급(不及)으로부터 말미암는다고 여겨[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127 페이지 / 전적]
《中庸》에 ‘공자(孔子)는‘도(道)가 행하여지지 못하는 이유를 내 알겠다. 지혜로운 자〔智者〕는 과(過)하고 어리석은 자〔愚者〕는 불급(不及)하기 때문이다. 도가 밝혀지지 못하는 이유를 내 알겠다. 어진 자〔賢者〕는 과하고 불초한 자〔不肖者〕는 불급하기 때문이다.‘했다.‘ 하였는데, 이는 지혜로운 자는 도를 알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여 도를 행하는 데 힘쓰지 않고, 어진 자는 도를 행하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여 도를 밝히는 데 힘쓰지 않으며, 어리석은 자와 불초한 자는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관심을 두지 못함을 한탄한 것이다.
지가(支家)[경게가라 21 페이지 / 전적]
종가에서 분가하여 나간 집.
지가(支家)[경게가라 21 페이지 / 전적]
종가에서 분가하여 나간 집.
지각(知覺)[경게가라 19 페이지 / 전적]
철이 듦.
지각(知覺)[경게가라 19 페이지 / 전적]
철이 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