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절행(節行)[옥산가라 22 페이지 / 전적]

절개를 지키는 행실.

절행(節行)[옥산가라 23 페이지 / 전적]

절개를 지키는 행실.

절행(節行)[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3 페이지 / 전적]

절개를 지키는 행실.

절행(節行)[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15 페이지 / 전적]

절개를 지키는 행실.

절행(節行)[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1 페이지 / 전적]

절개를 지키는 행실.

절행(節行)[칠여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①절개(節槪) 있는 행실(行實) ②절기(節氣)를 따라 행(行)하는 의례(儀禮).

절행(節行)[낙향이별가 3 페이지 / 전적]

절개를 지키는 행실.

절향(絶響)[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5 페이지 / 전적]

「絶響」 晋書嵇院傳論에「嵇琴絶響」이란 말이 있음. 嵇康이 刑에 臨하자 거문고를 달라해서 타며 말하기를「廣陵散 於今絶矣」라 했음. 그래서 後人이 流風餘韻을 다시 볼 수 없는 것을들어 絶響이라 쓰고 있음.

절혜(節惠)[송강집(松江集六)6 188 페이지 / 전적]

역명(易名)과 같음.

절혜(節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9 페이지 / 전적]

「節惠」- 시호(謚)를 내린다는 말임。禮記 表記에 『謚以尊名節而臺惠』라 하였음。 여기는 선생의 시호 文靖을 文正으로 고쳐 내린다는 뜻임。

절후(節侯)[추월감 2 페이지 / 두루마리]

절기(節氣)와 같은 말로 한 해를 스물넷으로 나눈, 계절의 표준이 되는 것.

절후(節侯)[시골여자서련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절기(節氣)와 같은 말.

절후(節候)[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9 페이지 / 전적]

15일 내지 16일에 한번씩 돌아오는 한 해의 24 절기.

절후(節候)[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3 페이지 / 전적]

한 해를 스물넷으로 나눈, 기후(氣候)의 표준점으로 15일 내지 16일에 한 번씩 돌아옴. 절기(節氣)와 같은 말.

절후(節候)[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3 페이지 / 전적]

한 해를 스물넷으로 나눈, 기후(氣候)의 표준점으로 15일 내지 16일에 한 번씩 돌아옴. 절기(節氣)와 같은 말.

젊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7 페이지 / 전적]

「結髪」- 束髮과 같은 말인데 처음 冠할 때를 이름. 史記 主父偃傳에「臣結髮遊學 四十餘年」이라 하였음. 文選 蘇武詩에「結髮爲夫妻 恩愛兩不疑」라 했는데 註에「비로소 成人으로서 男年 二十, 女年 十五의 때를 이름이다. 笄冠을 取하여 義를 삼은 것이라」하였음.

점(苫)[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8 페이지 / 전적]

거적자리.

점(點)[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12 페이지 / 전적]

「點狂」―點은 曾點인데 字는 晳이요、曾參의 父로 孔子의弟子가 되었다。孟子 盡心篇에「如琴張、曾晳、牧皮者 孔子之所謂狂矣」라 하였음。

점(點)[석천집(石川集二-三)2-3 74 페이지 / 전적]

증점(曾點). 춘추시대에 노(魯)나라 사람. 자는 석(晳). 공자의 제자. 일찌기 봄옷이 이미 되었으니 관례를 치룬 사람 오륙인, 동자 육칠인과 함께 기수(沂水)에서 목욕하고 무산(舞雩山)에서 바람을 쏘이고 돌아오겠다고 하니 공자가 “나는 증점과 함께 하겠다.” 고 말했다 한다.

점고(點考)[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9 페이지 / 전적]

명부에 일일이 점을 찍어 가며 사람의 수를 조사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