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절박(切迫)[한양가라 27 페이지 / 전적]

인정이 없고 냉정함.

절박(切迫)[옥산가라 45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이나 때가 가까이 닥쳐서 몹시 급함.

절발(截髮)[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6 페이지 / 전적]

「截髮」- 晋 陶侃의 母는 湛氏인데 처음에 侃의 父 丹이 妾으로 맞아들여 侃을 낳았다. 陶氏가 貧賤하여 母가 紡績하여 資生하는데 審陽孝廉 范逵가 侃에게 寓宿하게 되자 창졸간의 待客할 準備가 없었다.母는截髮 하여 酒肴를 장만하여 즐겁게마시게 하니 逵가 알고서 탄복하며 「이 어머니가 아니면 이 아들 을 낳을 수 없다」라 하였음.

절벽강산(絶壁江山)[백발가(白髮歌) 2 페이지 / 전적]

깎아지른 듯한 절벽으로 둘러싸인 곳. 여기서는 적막강산(寂寞江山:아주 적적하고 쓸쓸한 풍경을 이르는 말)의 뜻으로 쓰였음.

절벽강산(絶壁江山)[백발가(白髮歌) 4 페이지 / 전적]

깎아지른 듯한 절벽으로 둘러싸인 곳. 여기서는 적막강산(寂寞江山:아주 적적하고 쓸쓸한 풍경을 이르는 말)의 뜻으로 쓰였음.

절보(絶寶)[긔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귀중한 보물.

절복(節服)[남자답가라(남답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시절에 따른 의복.

절부(竊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56 페이지 / 전적]

「竊負」- 孟子 盡心篇에 「舜視棄天下 猶棄敝縱也 竊負而逃 遵海而處 終身訢然樂而忘天下」라 하였음.즉 瞽瞍가 죄를 지어拘禁을 당했을 경우, 皇帝의 자리를 버리고 이렇게 처신한다는 뜻임.

절부(節婦)[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0 페이지 / 전적]

절개를 지키는 부인.

절분(切忿)[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6 페이지 / 전적]

매우 원통(寃痛)하고 분함.

절분(切忿)[합강정가(合江亭歌) 10 페이지 / 전적]

매우 원통(寃痛)하고 분함.

절비(絶轡)[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55 페이지 / 전적]

「絶轡」―땅 이름임 黃帝가 蚩尤를 中冀에서 베고 그 땅을 이름하여 絶轡라 했다 하였음

절사(節士)[유회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절개를 지키는 선비.

절새(絶塞)[북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아주 먼, 국경에 가까운 땅.

절새(絶塞)[북쳔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아주 먼, 국경에 가까운 땅.

절새絶塞[ 1 페이지 / ]

변방

절색(絶色)[허후전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견줄 데 없이 빼어나게 아름다운 여자.

절세(絶世)[북쳔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세상 사람과 연락이나 교제를 끊음.

절세(絶世)[팔도가 3 페이지 / 전적]

세상과 인연을 끊음.

절세(絶世)[팔도가 3 페이지 / 전적]

세상과 인연을 끊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