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전정중(殿庭中)[금강산유람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불전 앞 뜰 가운데.
전제(專制)[광애가(廣愛歌) 5 페이지 / 전적]
다른 사람의 의사는 물어보지 않고 제 생각대로만 일을 결정함.
전제(專制)[효행가(孝行歌) 8 페이지 / 전적]
마음대로 처리함.
전제(專制)[대효가(大孝歌) 2 페이지 / 전적]
마음대로 처리함.
전제(專制)[거취가(去取歌) 3 페이지 / 전적]
다른 사람의 의사에 상관없이 오로지 자신의 생각대로만 일을 결정함.독단과 같은 의미.
전조(銓曹)[송강집(松江集四)4 44 페이지 / 전적]
이조 때 문무관의 전형을 맡아보던 이조(吏曹)와 병조(兵曹)를 일컫는 말
전조단발(剪爪斷髮)[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9 페이지 / 전적]
제사를 지내거나 기원을 올리기 전에 근신하는 뜻으로 손톱을 깍고 머리털을 자름.
전조단발(剪爪斷髮)[장씨부인역사라 12 페이지 / 전적]
손톱을 깎고 머리털을 가지런히 자름.
전조단발(剪爪斷髮)[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9 페이지 / 전적]
제사를 지내거나 기원을 올리기 전에 근신하는 뜻으로 손톱을 깍고 머리털을 자름.
전조단발(剪爪斷髮)[장씨부인역사라 12 페이지 / 전적]
손톱을 깎고 머리털을 가지런히 자름.
전존(傳存)[벌교사(벌교) 12 페이지 / 전적]
전하여서 오늘에 이름.
전좌(殿座)[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임금 등이 정사를 보거나 조하를 받으려고 정전(正殿)이나 편전(便殿)에 나와 앉던 일. 또는 그 자리.
전좌(殿座)[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임금 등이 정사를 보거나 조하를 받으려고 정전(正殿)이나 편전(便殿)에 나와 앉던 일. 또는 그 자리.
전좌(殿座)[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임금 등이 정사를 보거나 조하를 받으려고 정전(正殿)이나 편전(便殿)에 나와 앉던 일. 또는 그 자리.
전좌(殿座)[한양가라 9 페이지 / 전적]
임금이 정사를 보거나 조하를 받으려고 정전(正殿)이나 편전(便殿)에 나와 앉던 일.
전좌(殿座)[아림가(娥林歌) 35 페이지 / 전적]
임금 등이 정사를 보거나 조하를 받으려고 정전(正殿)이나 편전(便殿)에 나와 앉던 일. 또는 그 자리.
전주(全州)[호남가(湖南歌) 5 페이지 / 전적]
전라북도의 도청 소재지로 원래 백제의 완산으로 백제가 신라에게 멸망한 뒤 신라 경덕왕 16년 757년 에 전주로 고쳤다. 1895년 군이 되고, 1935년 부(府)로 승격되었다가 1949년 시(市)가 되었다.
전주(前籌)[송강집(松江集一)1 104 페이지 / 전적]
通鑑의「請借前箸 爲大王籌之」에서 나온 것임.
전주(專主) 가도(家道)[ 1 페이지 / ]
혼자서 일을 주관하는 것. 가사의 문맥으로 보아 ‘존경으로 일을 주관하라.’는 뜻임. 집안에서 마땅히 행하여야 할 도덕적 규범.
전주(專主) 가도(家道)[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8 페이지 / 전적]
혼자서 일을 주관하는 것. 가사의 문맥으로 보아 ‘존경으로 일을 주관하라.’는 뜻임. 집안에서 마땅히 행하여야 할 도덕적 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