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전후배(前後陪)[신힁가라 17 페이지 / 전적]

벼슬아치가 행차할 때나 상관을 배견할 때에 앞과 뒤룰 인도하던 관리나 하인.

전후불고(前後不顧)[츄억감 3 페이지 / 두루마리]

앞뒤를 살피지 않음.

전후불고(前後不顧)[추월감 2 페이지 / 두루마리]

일의 앞뒤를 돌아보지 아니함.

전후사면(前後四面)[추월감 2 페이지 / 두루마리]

앞뒤와 동서남북 사방.

전후사상(前後死傷)[구쟉가 11 페이지 / 전적]

앞뒤로 죽거나 다치다.

전후삼(前後三)[인팔괘변역가(人八卦變易歌) 17 페이지 / 전적]

3일 전후에.

전후삼(前後三)[근농가(勤農歌) 2 페이지 / 전적]

3일 전후에.

전후수말(前後首末)[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10 페이지 / 전적]

처음부터 끝까지의 과정.자초지종(自初至終)과 같은 말.

전후연(前後緣)[신행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앞뒤 마당.

전후옹위(前後擁衛)[대동가(동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앞 뒤 좌 우에서 부축하며 지키고 보호함.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51 페이지 / 전적]

「再拜蜀魂」― 杜甫의 杜鵑時에 「杜鵑暮春至 哀哀叫其間 我見常再拜 重是古帝魂」이라 했는데, 이 句가 특히 引用된 것은 그 憂國變君의 至誠을 나타내기 위한 것임.

절(節)[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7 페이지 / 두루마리]

시절.

절각(折脚)[아림가(娥林歌) 30 페이지 / 전적]

다리가 부러짐. 또는 그 다리

절강(浙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0 페이지 / 전적]

「浙江湖」- 浙江은 바다로 들어가는 몫에 龕山, 赭山의 두산이 南北을 夾峙하고 있으므로, 海水가 이곳을 經由할 적에심히 歛束을 받아 激涌하여 江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기세가마침내 怒發한다 하는데, 더욱 八月望日 前後에 最盛이 된다함.

절개(節槪)[자탄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신념, 신의 따위를 굽히지 아니하고 굳게 지키는 꿋꿋한 태도.

절개(節槪)[무제(▩▩▩▩) 1 페이지 / 두루마리]

신념, 신의 등을 굽히지 아니하고 굳게 지키는 꿋꿋한 태도.

절개(節槪)[무제(▩▩▩▩) 1 페이지 / 두루마리]

신념, 신의 등을 굽히지 아니하고 굳게 지키는 꿋꿋한 태도.

절개(節槪)[한양가라 5 페이지 / 전적]

신념, 신의 등을 굽히지 않고, 굳게 지키는 꿋꿋한 태도.

절개(節槪)[낙향이별가 10 페이지 / 전적]

신념, 신의 따위를 굽히지 않고 굳게 지키는 꿋꿋한 태도.

절경(絶景)[제주여행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경치.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