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절요(折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66 페이지 / 전적]
「折腰」-허리를 굽혀 절을 하여 屈辱의 뜻을 表함을 이름 晋書陶潜傳에『潜爲彭澤令 郡遺督郵至 縣吏白應束帶見之 潜歎曰 吾不能爲五斗米折腰 拳拳事鄕里小人』이라 하였음.
절용(截用)[계녀사라 11 페이지 / 전적]
쓰는 것을 끊음. 쓰지 못함.
절용(節用)[로인가 10 페이지 / 전적]
아껴 씀.
절용(節用)[경영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아껴 씀.
절용(節用)[경영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아껴 씀.
절용(節用)[김씨효행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아껴 씀.
절용절식(節用節食)[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아껴쓰고 아껴 먹음. 근검절약(勤儉節約)과 같은 뜻.
절용절식(節用節食)[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아껴쓰고 아껴 먹음. 근검절약(勤儉節約)과 같은 뜻.
절월(節鉞)[합강정가(合江亭歌) 6 페이지 / 전적]
절부월(節斧鉞). 조선 시대에, 관찰사ㆍ유수(留守)ㆍ병사(兵使)ㆍ수사(水使)ㆍ대장(大將)ㆍ통제사 들이 지방에 부임할 때에 임금이 내어 주던 물건. 절은 수기(手旗)와 같이 만들고 부월은 도끼와 같이 만든 것으로, 군령을 어긴 자에 대한 생살권(生殺權)을 상징하였다.
절월사(節越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청룡(靑龍)이 기복절곡(起伏折曲)하면서 흘러가는 사(砂)의 형세. 절(節)은 용신(龍身)이 한번 일어났다 가라앉고, 좌측으로 꺽이고 우측으로 굽으러지는 형세를 말함.
절월사(節越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청룡(靑龍)이 기복절곡(起伏折曲)하면서 흘러가는 사(砂)의 형세. 절(節)은 용신(龍身)이 한번 일어났다 가라앉고, 좌측으로 꺽이고 우측으로 굽으러지는 형세를 말함.
절월사(節越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2 페이지 / 전적]
청룡(靑龍)이 기복절곡(起伏折曲)하면서 흘러가는 사(砂)의 형세. 절(節)은 용신(龍身)이 한번 일어났다 가라앉고, 좌측으로 꺽이고 우측으로 굽으러지는 형세를 말함.
절의(節義)[잣치가라(치라) 9 페이지 / 전적]
절개와 의리.
절의(絶義)[오윤가 25 페이지 / 전적]
의절(義絶)과 같은 말로
절의염퇴(節義廉退)[직금가라 12 페이지 / 전적]
청렴(淸廉)과 절개(節槪)와 의리(義理)와 사양(辭讓)함과 물러감은 늘 지켜야 함.
절인용(絶人勇)[초한가(楚漢歌) 3 페이지 / 전적]
뛰어난 사람들의 용기
절일(節日)[명륜가(明倫歌) 32 페이지 / 전적]
명절.
절일(節日)[오윤가 14 페이지 / 전적]
명일(名日)과 같은 말로 임금이 태어난 날을 말함.
절장(絶腸)[권학가 7 페이지 / 전적]
가소절장(可笑絶腸). 우스워 창자가 끊어질 만함.
절절(切切)[교우가(交友歌) 3 페이지 / 전적]
절책(切責). 간절하게 책선(責善)해서 권장하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