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언연(偃然)[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6 페이지 / 전적]
거드름을 피우고 거만(倨慢)스러움.
언연(偃然)[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6 페이지 / 전적]
거드름을 피우고 거만(倨慢)스러움.
언연(偃然)[대명복수가(명복수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거드름을 피우고 거만(倨慢)스러움.
언연(偃然)[대명복수가(명복수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거드름을 피우고 거만(倨慢)스러움.
언전(諺傳)[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5 페이지 / 전적]
속전(俗傳)과 같은 말로 민간에 말을 퍼뜨려 전하여 내려오는 것.
언주(讞奏)[송강집(松江集六)6 6 페이지 / 전적]
옥사(獄事)를 공평하게 논의하여 주달한다는 뜻
언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71 페이지 / 전적]
「彦鎭」―瀟灑處士 梁山甫의 字임 見上。
언청계용(言聽計用)[충효가(忠孝歌) 13 페이지 / 전적]
간언하는 말은 듣고 신하들이 계획한 것은 잘 채용하여 씀.
언한[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2 페이지 / 두루마리]
‘곤한’의 잘못인 듯.
얻어[팔역가(八域歌) 5 페이지 / 전적]
단표누항簞瓢陋巷의 고사, 소박한 살림의 형용
얼갠빛등[화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산맥 곧 산등의 이름인 듯
얼굴은 금옥이오[춘몽가(츈몽가) 7 페이지 / 전적]
얼굴은 관옥이오'의 오기(誤記).관옥(冠玉)은 머리에 쓰는 관의 앞을 꾸미는 옥(玉)으로, 겉모습은 아름다운 미장부(美丈夫)이나 실속은 없음을 비유할 때 관옥과 같다고 말함.
얼굴은 금옥이오[춘몽가(츈몽가) 7 페이지 / 전적]
얼굴은 관옥이오'의 오기(誤記).관옥(冠玉)은 머리에 쓰는 관의 앞을 꾸미는 옥(玉)으로, 겉모습은 아름다운 미장부(美丈夫)이나 실속은 없음을 비유할 때 관옥과 같다고 말함.
얼러[긔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어르다’의 어근. ‘어르다’는 몸을 움직여 주거나 또는 무엇을 보여 주거나 들려주어서, 어린아이를 달래거나 기쁘게 하여 준다는 뜻.
얼룩대[춘몽가(츈몽가) 28 페이지 / 전적]
요(堯)임금의 딸들, 순(舜)임금의 부인으로 절행(節行)이 높음.
얼룩대[춘몽가(츈몽가) 28 페이지 / 전적]
얼룩덜룩한 대나무.순(舜) 임금이 창오에서 죽게 되자 순(舜)의 두 부인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이 상수(湘水)로 따라가며 눈물을 흘려 근처의 대나무에 떨어진 눈물로 얼룩무늬가 생기게 됨.이 대나무를 상비죽(湘妃竹) 또는 소상 반죽이라고 부르는데 남편을 따라 죽은 아황과 여영의 절개를 상징하게 되었다고 함.
얼마안에[추월감 1 페이지 / 두루마리]
얼마 지나지 않아.
얼무뵈 몬난쥴[형제붕우소회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얼른못뵈 못내난줄. 얼른 못봐 내가 못난 것이.
얼싸절싸[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흥겨워 뛰노는 모양.
얼울가 옷염녀[역대가라(역가라) 11 페이지 / 전적]
추워서 얼까 옷 염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