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시구시구(矢口矢口)[근농가(勤農歌) 2 페이지 / 전적]

‘얼씨구’와 같이 흥에 겨워서 가볍게 장단을 맞추는 소리.

시국형편(時局形便)[근농가(勤農歌) 5 페이지 / 전적]

현재 당면한 국내 및 국제 정세나 대세가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에 대한 상황.

시국형편(時局形便)[경세가(警世歌) 1 페이지 / 전적]

현재 당면한 국내 및 국제 정세나 대세가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에 대한 상황.

시국형편(時局形便)[경운가 25 페이지 / 전적]

현재 당면한 국내 및 국제 정세가 돌아가는 상황.

시국형편(時局形便)[몽즁운동가 2 페이지 / 전적]

현재 당면한 국내 및 국제 정세가 돌아가는 상황.

시군시신(是君是臣)[창덕가2 57 페이지 / 전적]

그 임금에 그 신하.

시군시신(是君是臣)[창덕가2 58 페이지 / 전적]

그 임금에 그 신하.

시금(施衿)[혼례가(婚禮歌) 4 페이지 / 전적]

옷을 줌.

시금초[회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싱금초’로 괭이밥을 의미하는 경상도 방언.

시기(始己)하고[사시풍경가라 2 페이지 / 전적]

시기(猜忌)하고'를 잘못 씀.

시기(猜忌)[자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이 잘되는 것을 샘하여 미워함.

시기(猜忌)[일회심곡(一回心曲) 7 페이지 / 전적]

남이 잘되는 것을 샘하여 미워함.

시기(猜忌)[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52 페이지 / 전적]

남이 잘되는 것을 샘하여 미워함.

시기(猜忌)[만수가(만슈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이 잘되는 것을 샘하여 미워함.

시기(猜忌)[만수가(만슈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이 잘되는 것을 샘하여 미워함.

시기(猜忌)[긔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이 잘되는 것을 샘하여 미워함.

시기(猜忌)[추풍감곡(秋風感曲) 6 페이지 / 전적]

샘을 내고 미워함.

시낭(詩囊)[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8 페이지 / 전적]

「詩囊」- 지은 詩를 담는 주머니를 말함. 唐 李賀가 每日에 騎馬를 타고 外出하여 詩가 얻어지면 바로 써서 奚奴의 짊어진錦囊에 投入한 사실이 있음.

시내와 구렁에는 검고 얇은[석천집(石川集二-二)2-2 24 페이지 / 전적]

‘가장 굳센 것은 갈아도 얇아지지 않고, 가장 흰 것은 물들여도 검어지지 않는다고 하지 않았느냐?[不曰堅乎, 磨而不磷, 不曰白乎, 涅而不緇]‘ <<논어>> <양화(陽貨)>

시냇가……있도다[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84 페이지 / 전적]

정성이 형식보다 중요하다는 말.《左傳 隱公 三年》에 ‘참으로 밝은 신의만 있다면 도랑과 못가의 풀이나 행길의 흙탕물이라도 귀신에 드릴 만하고 왕공에 아뢸 만하다.‘ 하였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