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시가문(媤家門)[화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시부모님댁.
시가외정(媤家外庭)[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30 페이지 / 전적]
시부모님댁 뜰 밖.
시각(時刻)[한흥가라 39 페이지 / 전적]
짧은 시간.
시각(時刻)[한흥가라 39 페이지 / 전적]
짧은 시간.
시각(時刻)[한흥가라 39 페이지 / 전적]
짧은 시간.
시강(侍講)[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경연원(經筵院)에 속하여 임금에게 경전을 강의하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 광무 원년(1897)에 두었다.
시겟돈[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9 페이지 / 전적]
시장에서 판 곡식 값으로 받는 돈.
시견(詩肩)[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8 페이지 / 전적]
「詩肩」- 宋 蘇軾詩의「君不見雪中騎驢孟造然 皺眉吟詩肩聳山」에서 起因된 말임.
시경(時景)[인팔괘변역가(人八卦變易歌) 17 페이지 / 전적]
이 때의 경치. 때에 따른 경치.
시경(時景)[근농가(勤農歌) 2 페이지 / 전적]
이 때의 경치. 때에 따른 경치.
시계(視界)[자치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시물에 대한 식견이나 생각이 미치는 범위.
시고(媤姑)[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9 페이지 / 전적]
시고모(媤姑母). 남편의 고모.
시고(是故)로[해몽가라(몽가라) 4 페이지 / 전적]
이런 까닭으로.
시골(詩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6 페이지 / 전적]
「詩骨瘦」-蘇軾詩에 「皺眉吟詩肩聳山」의 구(句)가 있음。
시관(試官)[화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에 과거 시험에 관계되는 관원을 통틀어 이르던 말.
시관(試官)[화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에 과거 시험에 관계되는 관원을 통틀어 이르던 말.
시관(試官)[기원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시대에, 과거 시험에 관계되는 시험관을 통틀어 이르던 말.
시구(蓍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八)8 118 페이지 / 전적]
通鑑 漢武帝往和四年에 「古者卿大夫與謀參以蓍龜 不吉不行」이라 하였고, 그 註에 「蓍는 筮이요 龜는 卜이다」라 했음.
시구궁을(矢口弓乙)[승선가(乘船歌) 5 페이지 / 전적]
시구(矢口)는 知(알 지)로서 ‘궁을(弓乙)’을 알라는 뜻.
시구시구(矢口矢口)[인팔괘변역가(人八卦變易歌) 17 페이지 / 전적]
‘얼씨구’와 같이 흥에 겨워서 가볍게 장단을 맞추는 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