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싀집으로 오난나리[효봉구고치산가 18 페이지 / 전적]

시집으로 오는 날에.

싀훤코 훤츨[ 1 페이지 / ]

시원하고 훤칠한.‘훤칠하다‘는 막힘 없이 깨끗하고 시원스럽다의 뜻이다.

싀훤[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2 페이지 / 전적]

시원하사.

싄술[ 1 페이지 / ]

①신술. 신맛이 나는 술. 여기서는 박주薄酒를 가리킨다. ②쉬어진 술. 변하여 시큼한 맛이 나는 술.

시 설명함은……사모한다[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39 페이지 / 전적]

광은 광정(匡鼎)이니 서한 사람이다. 그는 경학에 밝고 서를 잘 설명하니 선비들이 말하되 ‘시 설명을 멈추어라. 광정이 온다.〔無說詩匡鼎來〕‘라고 한 말이 있다.《漢書 卷八十一》

시(尸)[자직가(子職歌) 4 페이지 / 전적]

시동(尸童).옛날에 제사(祭祀) 지낼 때에 신위(神位) 대신(代身)으로 교의(交椅)에 앉히던 어린아이.

시(緦)[송강집(松江集三)3 121 페이지 / 전적]

삼월복(三月服).

시(視)[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69 페이지 / 전적]

「外物交前」-程伊川의 視箴에 『蔽交於前 其中則遷』이라 했음.

시◆◆◆[용문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시가하여.

시가(媤家)[사친가2(思親歌(二)) 7 페이지 / 전적]

시집. 높임말로는 ‘시댁’.

시가(媤家)[경게가라 3 페이지 / 전적]

시집. 시부모가 사는 집. 또는 남편의 집안. 구가(舅家).

시가(媤家)[답가사라(답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시댁. 시집.

시가(媤家)[경게가라 3 페이지 / 전적]

시집. 시부모가 사는 집. 또는 남편의 집안. 구가(舅家).

시가(媤家)[답가사라(답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시댁. 시집.

시가(媤家)[경영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시집. 시부모가 사는 집.

시가(媤家)[벽천가 22 페이지 / 전적]

시댁.

시가(媤家)[선유가라 19 페이지 / 전적]

시댁.

시가(媤家)[답선유가라(답션뉴가리) 1 페이지 / 전적]

시댁.

시가거룩[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7 페이지 / 전적]

시부모댁이 성스럽고 위대함.

시가문(媤家門)[화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시부모님댁.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