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승윤(承允)[시절가 28 페이지 / 전적]

임금의 허가를 받음.

승자(勝者)[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67 페이지 / 전적]

「不怨求身」-禮射義에 『不怨勝己者 反求諸己而己矣』라 하였음.

승장(僧將)[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8 페이지 / 전적]

승군(僧軍)의 장수.

승전(勝戰)[자탄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전쟁에서 이김.

승전(勝戰)[북쳔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전쟁에서 싸워 이김.

승전(承傳)[송강집(松江集五)5 75 페이지 / 전적]

왕지(王旨)의 전달을 맡은 내시부(內侍府)의 한 직(職)

승전고(勝戰鼓)[자치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싸움에 이겼을 때 울리는 북.

승전고(勝戰鼓)[씨름판가(시름판가) 5 페이지 / 전적]

싸움에서 이기고 울리는 북.

승전고(勝戰鼓)[자치가 9 페이지 / 전적]

싸움에 이겼을 때 울리는 북.

승전곡(勝戰曲)[소상팔경가 8 페이지 / 전적]

싸움에서 승리한 것을 기리는 내용을 담은 악곡.

승전색(承傳色)[송강집(松江集七)7 129 페이지 / 전적]

왕지(王旨)를 전달하는 내시(內侍)의 한 직(職)임

승정원(承政院)[거창가라 8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왕명의 출납을 맡아보던 관아.정종 2년(1400)에 중추원을 고쳐 도승지 이하의 벼슬을 두었는데, 고종 31년(1894)에 승선원(承宣院)으로 고쳤다.

승정원(承政院)[아림가(娥林歌) 8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왕명의 출납을 맡아보던 관아. 정종 2년(1400)에 중추원을 고쳐 도승지 이하의 벼슬을 두었는데, 고종 31년(1894)에 승선원(承宣院)으로 고쳤다.

승정원(承政院)[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왕명의 출납을 맡아보던 관아. 정종 2년(1400)에 중추원을 고쳐 도승지 이하의 벼슬을 두었는데, 고종 31년(1894)에 승선원(承宣院)으로 고쳤다.

승정원개탁[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3 페이지 / 전적]

승정원에서 서류를 뜯어 봄.

승정원에서 뜯어 볼 것[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35 페이지 / 전적]

이 글은 윗부분에 박락(剝落)된 곳이 많아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다. 맨 앞부분도 「뜯어 볼 것(開柝)」으로만 나오나 상투적 문례(文例)로 보아 「승정원에서 뜯어 볼 것(承政院開柝)」인 것으로 보인다

승종(承從)[혼례가(婚禮歌) 5 페이지 / 전적]

명령을 그대로 좇음.

승중상(承重喪)[삼한가라(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아버지를 여읜 맏아들이 당한 조부모의 초상.

승지(勝地)[셔유곡 6 페이지 / 전적]

경승지(경치가 좋은 곳).

승지(勝地)[옥산가라 4 페이지 / 전적]

경승지(景勝地). 경치가 좋은 곳.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