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수파(水破)[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득수(得水)를 말하는데. 득수(得水)은 내명당 양쪽으로 흐르는 물을 말하는데 내청룡 내백호 안의 보이는 물을 득(得), 내청룡 내백호 밖의 보이지 않는 물을 파(破)라고 한다.

수파련(水波蓮)[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5 페이지 / 전적]

잔치 때나 굿할 때에 장식으로 쓰는, 종이로 만든 연꽃.

수파련(水波蓮)[합강정가(合江亭歌) 5 페이지 / 전적]

잔치 때나 굿할 때에 장식으로 쓰는, 종이로 만든 연꽃.

수파불흥[용문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수파불흥(水波不興). 물결이 일어나지 않음.

수파불흥(水波不興)[선유가라 7 페이지 / 전적]

물결이 일지 않음.

수파불흥(水波不興)[용문가라 15 페이지 / 전적]

물결이 일지 않음.

수파통곡(手把痛哭)[안심가 7 페이지 / 전적]

손을 마주잡고 소리 높여 슬피 욺.

수팔연(壽八蓮)[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6 페이지 / 전적]

종이로 만든 조화(造花). 그릇마다 꽂음.

수팔연(壽八蓮)[김씨효행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굿할 때 젯상 음식에 꽂는 조화.

수패(水敗)[시절가 11 페이지 / 전적]

수해(장마나 홍수로 인한 피해).

수편(壽便)[한양가라 26 페이지 / 전적]

장수하고 편안함.

수폐(受弊)[신도가(臣道歌) 10 페이지 / 전적]

수폐(授幣)의 오기.폐백을 받음.헌관이 전폐(奠幣)할 때 헌관의 오른쪽에서 대축이 폐백(幣帛)을 받들던 일.

수폐(受弊)[혼례가(婚禮歌) 2 페이지 / 전적]

수폐(授幣)의 오기.폐백을 받음.헌관이 전폐(奠幣)할 때 헌관의 오른쪽에서 대축이 폐백(幣帛)을 받들던 일.

수포(收布)[아림가(娥林歌) 25 페이지 / 전적]

보포(保布)나 신포(身布) 따위를 징수하던 일.

수포(水泡)[경노의심곡 11 페이지 / 두루마리]

공들인 일이 헛되게 된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수풀 속의 토끼 덧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4 페이지 / 전적]

「兎罝」-토끼 덧임。(詩經 周南 兎罝에 「肅肅兎罝 施于中林赳赳武夫 公侯腹心」이란 章이 있음。

수품(手品)[헌수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솜씨.

수품(手品)[헌수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솜씨.

수품갓치[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6 페이지 / 전적]

손발같이. 손발같은. 수품(手品, 繡品)은 ‘솜씨’나 예쁘게 만든 물품을 뜻함.

수품갓치[탄식가라 1 페이지 / 전적]

손발같이. 손발같은. 수품(手品, 繡品)은 ‘솜씨’나 예쁘게 만든 물품을 뜻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