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수족(手足)[한양가라 39 페이지 / 전적]
팔과 다리.
수족(手足)[여행록이라(여녹이라) 27 페이지 / 전적]
손발.
수족(手足)[나부가라(라부가라) 2 페이지 / 전적]
손발.
수족(手足)[헌수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손과 발.
수족동정(手足動靜)[도덕가 4 페이지 / 전적]
손발을 움직이거나 멈추는 행위.
수족이처(手足異處)[아림가(娥林歌) 36 페이지 / 전적]
허리를 베어 몸이 두동강 남.
수족지신(手足之臣)[옥단춘전이라 5 페이지 / 전적]
수족 같이 부릴 수 있는 신하.
수졸당(守拙堂)[환행가 19 페이지 / 두루마리]
진성이씨 하계파의 종택. 퇴계의 손자인 동암(東巖) 이영도(李詠道)가 분가할 때 지은 집.
수졸당(守拙堂)[환행가 19 페이지 / 두루마리]
진성이씨 하계파의 종택. 퇴계의 손자인 동암(東巖) 이영도(李詠道)가 분가할 때 지은 집.
수종(手種)[화전가2 8 페이지 / 전적]
손수 심은 것.
수종(首從)[송강집(松江集五)5 99 페이지 / 전적]
죄인의 수범(首犯)과 종범(從犯)
수종백토(須從白兎)[몽즁운동가 4 페이지 / 전적]
백토(白兎)를 따르고 청림(靑林)을 향하여 감. 백토는 서방금(西方金) 또는 주역의 건괘로 하늘을 뜻하고, 청림은 동방목(東方木) 혹은 곤괘로 땅을 상징함.
수죄(數罪)[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5 페이지 / 전적]
죄(罪)를 저지른 행위(行爲)를 들추어 열거(列擧)함.
수죄(數罪)[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5 페이지 / 전적]
죄(罪)를 저지른 행위(行爲)를 들추어 열거(列擧)함.
수죄(數罪)[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5 페이지 / 전적]
죄(罪)를 저지른 행위(行爲)를 들추어 열거(列擧)함.
수죄(數罪)[대명복수가(명복수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죄(罪)를 저지른 행위(行爲)를 들추어 열거(列擧)함.
수죄(數罪)[대명복수가(명복수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죄(罪)를 저지른 행위(行爲)를 들추어 열거(列擧)함.
수죄(數罪)[한흥가라 106 페이지 / 전적]
범죄 행위를 들추어 세어 냄.
수죄(數罪)[옥단춘전이라 50 페이지 / 전적]
범죄 행위를 들추어 세어 냄.
수죽脩竹[ 1 페이지 / ]
가늘고 길게 자란 밋밋한 대, 또는 대 떨기, 죽림竹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