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수태(羞態)[조심가라 28 페이지 / 전적]
부끄러워하는 태도.
수태(羞態)[동상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부끄러워하는 태도.
수태(羞態)[이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부끄러워하는 태도.
수택(手澤)[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4 페이지 / 전적]
「手澤」―손때를 말함. 禮記 玉藻에 「父役而不能讀父之書 手澤存焉耳」라 했는데 䟽에「그 書에 父의 평소 所持한 손의 潤澤이 存在하기 때문에 차마 읽지 못한다는 말이다」라 했음.
수택(手澤)[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58 페이지 / 전적]
「手澤」―손때를 말함. 禮記 玉藻에「父沒而不能讀父之書 手澤存焉故耳」라는 구절이 있음. 지금 先人의 遺留한 用物이나 寫作等件을 들어 手澤이라 通稱함.
수택(手澤)[환행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물건에 남아 있는 옛사람의 흔적.
수택(手澤)[환행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물건에 남아 있는 옛사람의 흔적.
수택(手澤)[경명가(敬命歌) 7 페이지 / 전적]
①손이 자주 닿았던 물건에 손때가 묻어서 생기는 윤기. ②물건에 남아 있는 옛사람의 흔적.
수택(手澤)[광애가(廣愛歌) 1 페이지 / 전적]
①손이 자주 닿았던 물건에 손때가 묻어서 생기는 윤기. ②물건에 남아 있는 옛사람의 흔적.
수테을[소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수태(受胎)를. 임신(姙娠)을 말함.
수토(水土)[대동가(동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기거할 만한 곳.
수토불복(水土不服)[견월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물이나 풍토가 몸에 맞지 않아 위장이 나빠짐.
수토불복(水土不服)[견월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물이나 풍토가 몸에 맞지 않아 위장이 나빠짐.
수토산(水土山)에 수(隨)[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41 페이지 / 전적]
수천유괘(水天需卦).
수파(水波)[봉별가 21 페이지 / 전적]
물결.
수파(水破)[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득파(得破), 득파(得波)라고도 한다. 물이 용처(龍處)사이를 흘러내려가 물이 없어지는 곳이다.
수파(水破)[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득수(得水)를 말하는데. 득수(得水)은 내명당 양쪽으로 흐르는 물을 말하는데 내청룡 내백호 안의 보이는 물을 득(得), 내청룡 내백호 밖의 보이지 않는 물을 파(破)라고 한다.
수파(水破)[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득파(得破), 득파(得波)라고도 한다. 물이 용처(龍處)사이를 흘러내려가 물이 없어지는 곳이다.
수파(水破)[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득수(得水)를 말하는데. 득수(得水)은 내명당 양쪽으로 흐르는 물을 말하는데 내청룡 내백호 안의 보이는 물을 득(得), 내청룡 내백호 밖의 보이지 않는 물을 파(破)라고 한다.
수파(水破)[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득파(得破), 득파(得波)라고도 한다. 물이 용처(龍處)사이를 흘러내려가 물이 없어지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