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선죽교(善竹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0 페이지 / 전적]

개성에 있는 돌다리. 고려 말기의 충신 정몽주가 이방원이 보낸 조영규 등에게 철퇴를 맞고 죽은 곳으로 유명하다.

선지(先誌)[송강집(松江集三)3 82 페이지 / 전적]

돌아가신 아버지 즉 선인(先人)의 지문(誌文)임.

선지(宣旨)[옥단춘전이라 56 페이지 / 전적]

임금의 명령을 널리 선포함.

선지(宣旨)[선유가라 2 페이지 / 전적]

임금의 명령을 널리 선포함.

선지식(善知識)[셔왕가 2 페이지 / 전적]

지식(智識). 불도로써 사람을 교화 선도하는 덕이 높은 중.

선참후보(先斬後報)[갑지녹이라 6 페이지 / 전적]

죄인을 먼저 처형한 다음 임금에게 아룀.

선천운수(先天運數)[역대삼재가라 3 페이지 / 전적]

역학적 운도변천의 원리에 따라 신이 섬김을 받는 5만년의 시대.

선천지수(先天之數)[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3 페이지 / 전적]

하도(河圖) 10수를 가리킴. 즉 천지자연의 원리와 음양의 배열을 형상화한 선천팔괘를 의미함.

선천지수(先天之數)[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7 페이지 / 전적]

하도(河圖) 10수를 가리킴. 즉 천지자연의 원리와 음양의 배열을 형상화한 선천팔괘를 의미함.

선천지수(先天之數)[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3 페이지 / 전적]

하도(河圖) 10수를 가리킴. 즉 천지자연의 원리와 음양의 배열을 형상화한 선천팔괘를 의미함.

선천지수(先天之數)[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7 페이지 / 전적]

하도(河圖) 10수를 가리킴. 즉 천지자연의 원리와 음양의 배열을 형상화한 선천팔괘를 의미함.

선천태극[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12 페이지 / 전적]

각주3) 참조.

선천태극(先天太極)[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5 페이지 / 전적]

선천팔괘(先天八卦)[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0 페이지 / 전적]

복희씨가 만든 팔괘이며, ‘복희팔괘’로도 불림. 선천팔괘란 천지만물의 이치과 음양시종(陰陽始終)의 변화를 여덟 가지의 상(건(乾)ㆍ태(兌)ㆍ이(離)ㆍ진(震)ㆍ손(巽)ㆍ감(坎)ㆍ간(艮)ㆍ곤(坤))으로 나타내 것을 일컬음.

선천팔괘(先天八卦)[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0 페이지 / 전적]

복희씨가 만든 팔괘이며, ‘복희팔괘’로도 불림. 선천팔괘란 천지만물의 이치과 음양시종(陰陽始終)의 변화를 여덟 가지의 상(건(乾)ㆍ태(兌)ㆍ이(離)ㆍ진(震)ㆍ손(巽)ㆍ감(坎)ㆍ간(艮)ㆍ곤(坤))으로 나타내 것을 일컬음.

선천후천(先天后天)[청림도사궁을전(靑林道士弓乙傳) 5 페이지 / 전적]

천도교가 창건되기 이전의 세상을 뜻하는 처음 교(敎)를 연 1860년 4월 5일 이전까지의 세상과 천도교가 창건된 이후의 세상을 뜻하는 처음 교(敎)를 연 1860년 4월 5일 이후의 세상을 말한다.

선천후천(先天后天)[합자가(合字歌) 1 페이지 / 전적]

천도교가 창건되기 이전의 세상을 뜻하는 처음 교(敎)를 연 1860년 4월 5일 이전까지의 세상과 천도교가 창건된 이후의 세상을 뜻하는 처음 교(敎)를 연 1860년 4월 5일 이후의 세상을 말한다.

선천후천(先天后天)[길자가(吉字歌) 1 페이지 / 전적]

천도교가 창건되기 이전의 세상을 뜻하는 처음 교(敎)를 연 1860년 4월 5일 이전까지의 세상과 천도교가 창건된 이후의 세상을 뜻하는 처음 교(敎)를 연 1860년 4월 5일 이후의 세상을 말한다.

선천후천(先天後天)[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0 페이지 / 전적]

선천과 후천의 연원은 『주역』의 “先天而天弗違 後天而奉天時”에서 찾을 수 있는데, 선천은 우주자연의 근원적 질서와 이치 자체를 의미한다면 후천은 그러한 이치를 받들어 행하여 인문의 질서를 형성해가는 것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음.

선천후천(先天後天)[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0 페이지 / 전적]

선천과 후천의 연원은 『주역』의 “先天而天弗違 後天而奉天時”에서 찾을 수 있는데, 선천은 우주자연의 근원적 질서와 이치 자체를 의미한다면 후천은 그러한 이치를 받들어 행하여 인문의 질서를 형성해가는 것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