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선조(宣祖)[한양가라 60 페이지 / 전적]

조선의 제14대 왕(1552-1608)으로 이황 등 인재를 등용하고 유학을 장려하는 등 선정(善政)에 힘썼으나, 당쟁으로 인한 국력의 약화로 두 번의 왜란을 겪었다.

선조(宣祖)[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2 페이지 / 전적]

조선의 제14대 왕(1552~1608). 이름은 연(昖). 초명(初名)은 균(鈞). 이이ㆍ이황 등의 인재를 등용하고 유학을 장려하는 따위의 선정(善政)에 힘썼으나, 당쟁으로 인한 국력의 약화로 두 번의 왜란을 겪었다. 재위 기간은 1567~1608년이다.

선조부(先祖父)[회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돌아가신 할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선조수택(先祖手澤)[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책이나 문고리 등의 물건을 오래도록 자주 만져 생긴 조상의 손때.

선조일생(宣祖一生)[대명복수가(명복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의 14대 왕.

선조일생(宣祖一生)[대명복수가(명복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의 14대 왕.

선족(跣足)[대효가(大孝歌) 5 페이지 / 전적]

맨발.

선족(跣足)[사군가(事君歌) 1 페이지 / 전적]

맨발.

선종(善終)[송강집(松江集六)6 77 페이지 / 전적]

그릇 죽지 않고 천수(天壽)를 그대로 마치는 것

선종(善終)[대동가(동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의 죽음에 애도(哀悼)의 정을 다하여 조상(弔喪)함.

선종(宣宗)[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3 페이지 / 전적]

고려의 제13대 왕(1049~1094)으로 이름은 운(運)이다. 승과(僧科)를 설치하고, 교장도감을 설치하여 도서를 출판하는 따위의 불교 발전에 힘썼다. 재위 기간은 1083~1094년이다.

선주(仙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39 페이지 / 전적]

「仙舟」―東漢사람 李膺과 郭泰가 배를 함께 타고 河를 건너 衆賓이 모두 바라보고 神仙으로 여겼다는 李郭同舟의 故事를 빌려쓴 것임.

선주(仙舟)[초씨션원쳥음가 16 페이지 / 전적]

신선이 타는 배.

선주(仙酒)[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15 페이지 / 전적]

신선이 마신다는 전설상의 술로, 귀하고 맛이 좋은 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선주(仙酒)[연행별곡(연별곡) 5 페이지 / 전적]

신선이 마신다는 전설상의 술로, 귀하고 맛이 좋은 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선죽교(善竹橋)[팔도안희가 7 페이지 / 전적]

성(開城)에 있는 돌다리로 개성 남대문에서 동쪽 약 1km 거리의 자남산 남쪽 개울에 있는 다리이다. 선죽교는 1392년 정몽주가 후에 태종이 된 이방원의 일파에게 피살된 장소이기도 하다. 원래 선지교(善地橋)라 불렸는데, 정몽주가 피살되던 날 밤 다리 옆에서 참대가 솟아나왔다 하여 선죽교(善竹橋)로 고쳐 불렀다고 전한다.

선죽교(善竹橋)[이화가젼 18 페이지 / 전적]

경기도 개성에 있는 돌다리. 고려 말기의 충신 정몽주가 이방원이 보낸 조영규 등에게 철퇴를 맞고 죽은 곳으로 유명함.

선죽교(善竹橋)[이화가젼 18 페이지 / 전적]

경기도 개성에 있는 돌다리. 고려 말기의 충신 정몽주가 이방원이 보낸 조영규 등에게 철퇴를 맞고 죽은 곳으로 유명함.

선죽교(善竹橋)[한양가라 4 페이지 / 전적]

경기도 개성에 있는 돌다리로 고려말의 충신 정몽주가 이방원이 보낸 조영규 등에게 철퇴를 맞고 죽은 곳으로 유명하다.

선죽교(善竹橋)[옥산가라 21 페이지 / 전적]

경기도 개성에 있는 돌다리. 고려 말기의 충신 정몽주가 이방원이 보낸 조영규 등에게 철퇴를 맞고 죽은 곳으로 유명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