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선왕제도(先王制度)[근농가(勤農歌) 6 페이지 / 전적]
선대왕이 이루어놓은 제도.
선왕제도(先王制度)[경세가(警世歌) 2 페이지 / 전적]
선대왕이 이루어놓은 제도.
선왕지예(先王之禮)[자연천의설(自然天意說) 3 페이지 / 전적]
선왕의 예도.
선왕지예(先王之禮)[고분가 19 페이지 / 전적]
선왕의 예.
선왕지예(先王之禮)[고분가 19 페이지 / 전적]
선왕의 예.
선우(善友)[권왕가 12 페이지 / 전적]
착하고 어진 벗.
선원(仙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1 페이지 / 전적]
「仙源」- 훌륭한 家門을 말함.
선원종도(仙源種桃)[셔운가 6 페이지 / 전적]
신선의 근원 복숭아의 종자가 있는 곳.
선원종도(仙源種桃)[셔운가 6 페이지 / 전적]
신선의 근원 복숭아의 종자가 있는 곳.
선원종도(仙源種桃)[셔운가 6 페이지 / 전적]
신선의 근원 복숭아의 종자가 있는 곳.
선원종도(仙源種桃)[셔운가 6 페이지 / 전적]
신선의 근원 복숭아의 종자가 있는 곳.
선원청음(仙源淸陰)[팔도안희가 9 페이지 / 전적]
선원 김상용(仙源 金尙容, 1561-1637)과 청음 김상헌(淸陰 金尙憲, 1570-1652)을 말하며, 두 분은 형제지간으로 병자호란 때 청나라에 대해 주전론(主戰論)을 주장한 척화파(斥和派)였다.
선위(禪位)[한양가라 9 페이지 / 전적]
양위(讓位)와 같은 말로 임금의 자리를 물려주는 것을 말한다.
선위(禪位)[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2 페이지 / 전적]
양위(讓位), 임금의 자리를 물려줌.
선위(禪位)[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9 페이지 / 전적]
양위.
선위사(宣慰使)[송강집(松江集五)5 92 페이지 / 전적]
이조 때 외국관리를 영접하는 관리. 二품 내지 三품 이상의 당상관(堂上官)으로 임명된 관직. 특히 중국 사신이 오는 길을 따라 선위사를 다섯군데로 보내어 영접하고 연회를 베풀어 노고를 위로하였다.
선위설사(善爲說辭)[타미계라(라미키라) 6 페이지 / 전적]
말을 재치 있게 잘함.
선위설사(善爲說辭)[타미계라(라미키라) 6 페이지 / 전적]
말을 재치 있게 잘함.
선위탈가지계(先爲奪家之計)[구쟉가 9 페이지 / 전적]
먼저 집을 뺏으려는 계책.
선유(仙遊)[무제(▩▩▩▩) 4 페이지 / 두루마리]
선경에서 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