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구례(九禮)[호남가라 3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 북동부에 위치한 군으로 지리산 국립공원을 끼고 있고, 명승고적이 많아 관광지로 주목받고 있는 곳이다.
구례(求禮)[호남가(湖南歌) 5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 북동부에 위치한 한 군.
구로(劬勞)[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27 페이지 / 전적]
『劬勞』―父母를 그리워하는데 쓰는 成語임. 詩經 小雅 蓼莪에 『哀哀父母 生我劬勞』라 하였음.
구로(劬勞)[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36 페이지 / 전적]
「劬勞」-詩經 小雅 蓼莪의 『哀哀父母 生我劬勞』에서 나온 말임.
구로(劬勞)하고[경게가라 8 페이지 / 전적]
자식을 낳아서 기르느라고 힘을 들이고 애를 씀.
구로(劬勞)하고[경게가라 8 페이지 / 전적]
자식을 낳아서 기르느라고 힘을 들이고 애를 씀.
구로(鷗鷺)[유소가 3 페이지 / 전적]
갈매기와 해오라기.
구로생아(劬勞生我)[별한가 28 페이지 / 전적]
나를 낳아 기르시느라 고생함. 『시경(詩經)』, 「소아(小雅) 육아(蓼莪)」 편에 ‘육육자아(蓼蓼者莪) 비아이호(匪莪伊蒿) 애애부모(哀哀父母) 생아구로(生我劬勞)’에서 온 말.
구로생아(劬勞生牙)[의향소창가 5 페이지 / 전적]
나를 낳아 기르는 부모님의 수고.
구로생아(劬勞生牙)[리행소챙가 1 페이지 / 전적]
나를 낳아 기르는 부모님의 수고.
구로원학(鷗鷺猿鶴)[민탄가(民歎歌) 16 페이지 / 전적]
갈매기와 백로와 원숭이와 학.
구로원학(鷗鷺猿鶴)[어부사(漁父辭) 2 페이지 / 전적]
갈매기와 백로와 원숭이와 학.
구로지은(劬勞之恩)[환행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자기를 낳아 키운 어버이의 은덕.
구로지은(劬勞之恩)[환행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자기를 낳아 키운 어버이의 은덕.
구로지택(劬勞之澤)[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자기를 낳아 기르느라고 고생으로 끼친 부모의 혜택.
구로회(九老會)[남여동락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백거이(白居易)와 종유(從遊)한 아홉 노인(老人)들의 모임.
구로회(九老會)[남여동락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백거이(白居易)와 종유(從遊)한 아홉 노인(老人)들의 모임.
구롬은 니와[ 1 페이지 / ]
구름은커녕. 구름은 물론이거니와.
구료(舊僚)[연행별곡(연별곡) 7 페이지 / 전적]
옛 관료.
구루단(句漏丹)[석천집(石川集二-四)2-4 113 페이지 / 전적]
『句漏』는 中國 廣西城 北流縣에 있는 山名.『句漏丹』은 葛洪이 句漏山에 숨어 만들었다고 하는 丹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