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구루산[석천집(石川集二-四)2-4 47 페이지 / 전적]
中國 廣西省 北流縣 東北에 있는 산. 晋代의 葛洪이 이곳에서 神仙術을 修鍊했다고 함.
구루산[석천집(石川集二-四)2-4 57 페이지 / 전적]
中國 六朝時代 晉나라의 葛洪이 隱居하면서 神仙術을 修鍊하던 산.
구루산(句漏山)[석천집(石川集二-四)2-4 19 페이지 / 전적]
中國 廣西省 北流縣 東北에 있는 山. 六朝時代 晉나라의 葛洪이 이 山에서 神仙術을 鍛鍊했다고 함.
구류손불(拘留孫佛)[권왕가 50 페이지 / 전적]
과거 칠불(七佛)의 하나. 4만 세 때 나서 시리수(尸利樹) 아래서 성불하였다고 함.
구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5 페이지 / 전적]
「停雲」-晋나라 陶潜이 停雲詩를 지었는데 自註에 「停雲은 親友를 생각하여 지은 것이다」라 하였음.
구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61 페이지 / 전적]
「看雲」- 아우를 思憶한다는 뜻임. 杜甫詩에「憶弟看雲白日眼」이라는 句가 있음.
구름 가운데 소미성이[석천집(石川集二-二)2-2 147 페이지 / 전적]
태미성의 서쪽에 있는 네 별이다.
구름 나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06 페이지 / 전적]
懷舊의 뜻으로 引用함. 杜甫 懷李白詩에 「渭北春天樹江東日暮雲 何時一尊酒 重與細論文」이 있음.
구름되다 비되는 것[송강집(松江集二)2 96 페이지 / 전적]
雨雲. 두보(杜甫)의 빈교행(貧交行) 「翻手作雲覆手雨」에서 나온 말임.
구름못듯[긔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구름이 모이듯.
구름밧긔[ 1 페이지 / ]
구름 밖에. 구름을 넘어서 저 푸른 하늘의 세계에.
구름차일(遮日)[벽천가 15 페이지 / 전적]
햇볕을 가리기 위해 친 포장을 아주 높이 침.
구름일[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1 페이지 / 전적]
구름 차일(遮日). 차일은 잔치할 때, 햇빛을 가리기 위하여 치는 장막.
구릉(丘陵)[셔유곡 10 페이지 / 전적]
언덕. 땅이 비탈지고 조금 높은 곳.
구릉(丘陵)[경장가(敬長歌) 5 페이지 / 전적]
언덕.
구리 기둥 걷다가 불속에 떨어지는 거동[녁대가(녁가) 16 페이지 / 전적]
주왕과 달기는 구리 기둥에 기름을 발라 숯불 위에 걸쳐 놓고 죄인으로 하여금 그 위를 걷게 하여 미끄러져서 타 죽게 하는 포락(炮烙)의 형을 구경하면서 웃고 즐겼다고 함.
구리개[거창가 2 페이지 / 전적]
동현(銅峴). 현재 을지로 입구 일대를 말함. 당시에는 길이 질어서 구릿빛으로 거무틱틱하게 보였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게 되었다고 함.
구리개[거창가 2 페이지 / 전적]
동현(銅峴). 현재 을지로 입구 일대를 말함. 당시에는 길이 질어서 구릿빛으로 거무틱틱하게 보였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게 되었다고 함.
구리개[거창가라 9 페이지 / 전적]
동현(銅峴).현 을지로 입구 일대.당시에는 길이 질어서 구릿빛으로 거무튀튀하게 보였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게 되었다고 함.
구리개[아림가(娥林歌) 9 페이지 / 전적]
동현(銅峴). 현 을지로 입구 일대. 당시에는 길이 질어서 구릿빛으로 거무튀튀하게 보였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게 되었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