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존장(尊長)[빈주접례가(賓主接禮歌) 6 페이지 / 전적]
일가친척이 아닌 사람으로서 자기보다 나이가 많음.또는 그런 사람.웃어른.
존장(尊長)[통륜가(通倫歌) 2 페이지 / 전적]
일가친척이 아닌 사람으로서 자기보다 나이가 많음.또는 그런 사람.웃어른.
존재(存齋)[송강집(松江集六)6 23 페이지 / 전적]
기고봉(奇高峯)
존저(存著)[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12 페이지 / 전적]
존재하고 나타남.
존전(尊前)[자치가 26 페이지 / 전적]
임금이나 높은 벼슬아치의 앞을 이르던 말.
존절(尊節)[경게가라 19 페이지 / 전적]
예절을 존중함.
존절(尊節)[경게가라 19 페이지 / 전적]
예절을 존중함.
존존히[청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고르고 곱게.
존주대의[팔역가(八域歌) 26 페이지 / 전적]
중국을 모시는 큰 의리
존주록(尊周錄)[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2 페이지 / 전적]
조선 숙종 때의 학자 이태수(李泰壽)가 존명양이(尊明攘夷)의 사적(事蹟)을 간추린 책.
존주록(尊周錄)[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2 페이지 / 전적]
조선 숙종 때의 학자 이태수(李泰壽)가 존명양이(尊明攘夷)의 사적(事蹟)을 간추린 책.
존주록(尊周錄)[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2 페이지 / 전적]
조선 숙종 때의 학자 이태수(李泰壽)가 존명양이(尊明攘夷)의 사적(事蹟)을 간추린 책.
존주록(尊周錄)[대명복수가(명복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숙종 때의 학자 이태수(李泰壽)가 존명양이(尊明攘夷)의 사적(事蹟)을 간추린 책.
존주록(尊周錄)[대명복수가(명복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숙종 때의 학자 이태수(李泰壽)가 존명양이(尊明攘夷)의 사적(事蹟)을 간추린 책.
존주의리(尊主義理)[달노래 4 페이지 / 전적]
주인이 존재하기에 오로지 한사람의 임금만을 섬긴다는 의리.
존체(尊體)[충효가(忠孝歌) 8 페이지 / 전적]
높은 몸. ‘당신’의 높임말.
존체(尊體)[축원하온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다른 사람의 몸을 높여 이르는 말.
존호(尊號)[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4 페이지 / 전적]
왕이나 왕비의 덕을 기리기 위하여 올리던 칭호.
존후(尊候)[리행소챙가 26 페이지 / 전적]
상대방을 높이어 그의 건강 상태를 이르는 말.
졸곡(卒哭)[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4 페이지 / 두루마리]
삼우제를 지낸 뒤에 곡을 끝낸다는 뜻으로 지내는 제사. 사람이 죽은 지 석 달 만에 오는 첫 정일(丁日)이나 해일(亥日)을 택하여 지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