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족친(族親)[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같은 성씨의 일가붙이.
족하(足下)[후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발아래.
족하(足下)걸쳐[자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발 아래에 걸쳐.
존경각(尊經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7 페이지 / 전적]
「尊經閣」- 옛날 學宮 안에 마련된 藏書閣의 이름임. 山左金石志에「濟寧州 州學에는 元나라 大德三年에 建立한 尊經閣碑가있다」하였음.
존경각(尊經閣)[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0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둔, 도서를 보관하던 전각(殿閣)이다. 성종 6년(1475)에 성균관 안에 지었는데, 중종 9년(1514)에 불에 타 인조 4년(1626)에 다시 지었다.
존고(尊姑)[회경가 8 페이지 / 전적]
시어머니를 높이 이르는 말
존고(尊姑)[헌수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시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존고(尊姑)[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2 페이지 / 두루마리]
‘시어머니’를 높여 부르는 말.
존고(尊姑)[헌수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시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존고(尊姑)[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2 페이지 / 두루마리]
‘시어머니’를 높여 부르는 말.
존고(尊姑)[경노의심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시어머님’을 높여 부르는 말.
존고(尊姑)[경노의심곡 13 페이지 / 두루마리]
시어머님을 높여 부르는 말.
존고(尊姑)[대동가(동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시어머니(남편의 어머니를 이르는 말)’를 높여 이르는 말.
존고(尊姑)[인일가라 3 페이지 / 전적]
‘시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존고(尊高)[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8 페이지 / 전적]
존고는 높은 사람을 뜻하는 말인데, 여기서는 아버지를 가리킴.
존고사람 깁퓰사록[형제붕우소회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존고(尊姑)사람 깊을수록. 시어머니 사람 깊을수록.
존고자부(尊姑子婦)[화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존고는 ‘시어머니’를 높여 부르는 말이고, 자부는 ‘며느리’를 말함.
존고자부(尊姑子婦)[화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존고는 ‘시어머니’를 높여 부르는 말이고, 자부는 ‘며느리’를 말함.
존고지전(尊姑之前)[대동가(동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시어머니 앞.
존구(尊舅)[회경가 7 페이지 / 전적]
‘시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