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압이우제[남천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앞의 이웃.
압이우제[남천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앞의 이웃.
앗았으니[한양가라 16 페이지 / 전적]
빼앗았으니.
앙각(仰覺)[막소가(莫笑歌) 14 페이지 / 전적]
우러러 보고, 깨닫다.
앙경각지(殃慶各至)[가사소리 13 페이지 / 전적]
재앙과 경사가 각각 옴.
앙금(鴦錦)[사미인곡 8 페이지 / 전적]
원앙새를 수놓은 이불.
앙금앙금[비틀노래 1 페이지 / 두루마리]
어린아이나 작은 동물이 작고 느리게 걷거나 기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
앙급(殃及)[아림가(娥林歌) 38 페이지 / 전적]
재앙이 미침.
앙급(殃及)[아림가라 1 페이지 / 전적]
재앙이 미침.
앙급기신(殃及其身)[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37 페이지 / 전적]
재앙이 자기 자신에게 다가온다.
앙급기신(殃及其身)[인팔괘변역가(人八卦變易歌) 8 페이지 / 전적]
나에게 재앙이 미침.
앙급자손(殃及子孫)[조심가라 11 페이지 / 전적]
화가 자손에게 미침.
앙급자손(殃及子孫)[조심가라 11 페이지 / 전적]
화가 자손에게 미침.
앙급자손(殃及子孫)[옥단춘전이라 45 페이지 / 전적]
화가 자손에게 미침.
앙급자손(殃及子孫)[합강정가(合江亭歌) 15 페이지 / 전적]
화가 자손에게 미침.
앙급자손(殃及子孫)[연행별곡(연별곡) 1 페이지 / 전적]
화가 자손에게 미침.
앙당그레[시골여자서련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마르거나 졸아지거나 굳어지면서 뒤틀리는 모양.
앙두사(仰頭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두(頭)를 우러로보는 사(砂). 두(頭)는 흔히 두뇌(頭腦)라고도 하며, 입수(入首)에서 혈(穴)과 접합되는 곳으로 용머리의 이마(額)와 같은 형태를 함.
앙두사(仰頭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두(頭)를 우러로보는 사(砂). 두(頭)는 흔히 두뇌(頭腦)라고도 하며, 입수(入首)에서 혈(穴)과 접합되는 곳으로 용머리의 이마(額)와 같은 형태를 함.
앙두사(仰頭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2 페이지 / 전적]
두(頭)를 우러로보는 사(砂). 두(頭)는 흔히 두뇌(頭腦)라고도 하며, 입수(入首)에서 혈(穴)과 접합되는 곳으로 용머리의 이마(額)와 같은 형태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