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애들하다[냥신낙사가(냥신낙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음이 안타깝거나 쓰라리다’의 향속어.

애들하다[냥신낙사가(냥신낙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음이 안타깝거나 쓰라리다’의 향속어.

애들한말[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애달픈 말.

애들한말[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애달픈 말.

애련(哀憐)[신행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애처롭고 가엾음.

애련(哀憐)[대효가(大孝歌) 3 페이지 / 전적]

애처롭고 가엾게 여김.

애련(哀戀)[사모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슬프게 끝나는 연애(戀愛).

애련당(愛蓮堂)[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9 페이지 / 전적]

애련당은 평양 대동문 서쪽에 있던 별당으로, 애련당 앞의 연못에 연꽃이 많이 피었다고 함.

애련당(愛蓮堂)[차운 10 페이지 / 전적]

평양 대동문 서쪽에 있던 별당으로, 애련당 앞에는 못이 있고 그 못에는 연꽃이 많이 피었다고 함.

애련당(愛蓮堂)[상사가라 5 페이지 / 전적]

평양 대동문 서쪽에 있던 별당으로, 애련당 앞에는 못이 있고 그 못에는 연꽃이 많이 피었다고 함.

애련당(愛蓮塘)[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5 페이지 / 두루마리]

평양 대동문에서 종로로 통하는 길 중간복판에 있었던 연못. 연당청우(蓮塘聽雨)는 평양 팔경의 하나.

애련설(愛蓮說)[석천집(石川集二-三)2-3 137 페이지 / 전적]

송(宋)나라의 주돈이(周敦頤)가 지은 글. 연(蓮)을 군자에 비긴 내용으로 되어 있다.

애련섭섭[리행소챙가 30 페이지 / 전적]

애처롭고 가엽고 섭섭함.

애련지심(愛憐至心)[외손별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애련(愛憐)은 어리거나 약한 사람을 가엾게 여기어 사랑함.

애롱[효성가라 5 페이지 / 전적]

내용 미상.

애롱[계녀사라 1 페이지 / 전적]

내용 미상.

애매꾸중[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30 페이지 / 전적]

희미하고 분명치 아니한 꾸지람.

애물[자탄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몹시 애를 태우거나 성가시게 구는 물건이나 사람.

애물[망부가 15 페이지 / 전적]

몹시 애를 태우거나 성가시게 구는 물건이나 사람.어린 나이로 부모보다 먼저 죽은 자식.

애물[낙향이별가 10 페이지 / 전적]

몹시 애를 태우거나 성가시게 구는 물건이나 사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