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암영(暗營)[한흥가라 72 페이지 / 전적]
적군이 모르게 은밀히 진을 침. 또는 그 진영.
암영(暗營)[한흥가라 72 페이지 / 전적]
적군이 모르게 은밀히 진을 침. 또는 그 진영.
암울(暗鬱)[추월감 9 페이지 / 두루마리]
절망적이고 침울함.
암장(巖墻)[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5 페이지 / 전적]
「巖墻不立」- 孟子 盡心篇에 「知命者 不入於巖墻之下」라 하였음.
암짝하여[벽천가 20 페이지 / 전적]
몸의 일부를 갑자기 세게 움츠리거나 펴면서 움직이는 모양.
암촉(暗囑)[심심가(尋心歌) 14 페이지 / 전적]
은밀히 부탁함.
암촉(暗囑)[심심가(尋心歌) 14 페이지 / 전적]
은밀히 부탁함.
암축(暗祝)[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신에게 마음 속으로 기원함.
암축(暗祝)[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신에게 마음 속으로 기원함.
암하방언(巖下放言)[석천집(石川集二-三)2-3 158 페이지 / 전적]
원래는 송(宋)나라의 엽몽득(葉夢得)이 만년에 벼슬을 그만두고 지었던 시문들로 불로사상(佛老思想)을 많이 담고 있다.
암하처이종거(暗何處而從去)며 월하처이종래(月何處而從來)이런고[사친가1(思親歌(一)) 11 페이지 / 전적]
어둠은 어디로 사라지며, 달은 어디에서 떠오는고.
암학巖壑[ 1 페이지 / ]
바위와 골짜기, 또는 석굴 石窟
암행(暗行)[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1 페이지 / 전적]
임금의 특명을 받아 지방관의 치적과 비위를 탐문하고 백성의 어려움을 살펴서 개선하는 일을 맡아 하던 임시 벼슬인 암행어사(暗行御史)를 말함.
암향[ 1 페이지 / ]
暗香. 어디선지 은은히 풍겨오는 향기.
암향(暗香)[사미인곡 5 페이지 / 전적]
그윽한 향기. 매화의 속성을 지칭하는 말로, 여기에서는 임금에 대한 충정을 뜻함.
암향소영(暗香疎影)[송강집(松江集一)1 65 페이지 / 전적]
매화(梅花)를 이름. 송(宋)나라 사람 임포(林逋)의 梅花詩인「疎影横斜水淸淺 暗香浮動月黃昏」에서 유래되었음.
암쳐[상사곡가사(상곡가사) 11 페이지 / 전적]
암하처(暗何處)에. 어둔 어느 곳에. 알 수 없는 곳.
압(壓)[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2 페이지 / 전적]
「壓」-壓勝과 같은 말인데 祈禳하여 壓伏한다는 뜻임。史記 高祖紀에「於是因 東遊以厭之」라 하였음。
압강(鴨江)[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4 페이지 / 전적]
압록강.
압강(鴨江)[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4 페이지 / 전적]
압록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