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역(棫)[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4 페이지 / 전적]

「棫樸」-詩經 棫樸에 「芃芃棫樸 薪之槱之」라는 句가 있는데 이 詩는 文王의 德을 노래한 것임

역(驛)[북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 때 공문서(公文書)를 중간에서 이어 전달하고, 공무(公務)로 다니던 벼슬아치들에게 말을 제공하던 곳.

역가(役價)[송강집(松江集二)2 143 페이지 / 전적]

부역의 댓가로 내는 것.

역거(歷擧)[신정도덕가 6 페이지 / 전적]

낱낱이 열거하다.

역경계(逆境界)[권왕가 14 페이지 / 전적]

경계(境界)에 거슬림. 경계(境界) : 인과응보(因果應報)의 이치에 따라 자기가 놓이게 되는 처지.

역괘(易卦)[론학가권지일 32 페이지 / 전적]

역괘(易卦)[론학가권지일 32 페이지 / 전적]

역괘정수(易卦定數)[경화가(警和歌) 20 페이지 / 전적]

주역 괘의 대정수. 대정수는 음양(陰陽)의 변화를 낳고 귀신의 작용을 일으키는 수. 주역에서 수(數)를 들어 미루어 판단하는 방법.

역괘정수(易卦定數)[경화가(警和歌) 20 페이지 / 전적]

주역 괘의 대정수. 대정수는 음양(陰陽)의 변화를 낳고 귀신의 작용을 일으키는 수. 주역에서 수(數)를 들어 미루어 판단하는 방법.

역구(力求)[조심가라 23 페이지 / 전적]

힘써 구함.

역구(力求)[조심가라 23 페이지 / 전적]

힘써 구함.

역군은[면앙정가(俛仰亭歌) 9 페이지 / 전적]

이 또한 임금님의 은혜로다.

역기(逆氣)[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58 페이지 / 전적]

산형(山形)이 거슬러 감.

역기역이 언문자[쳥츈상심곡(쳥츈심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한글의 일반에 통용되는 이름. 기역 니은 등.

역년(歷年)[조심가라 13 페이지 / 전적]

한 왕조가 왕업을 누린 햇수.

역년(歷年)[조심가라 13 페이지 / 전적]

한 왕조가 왕업을 누린 햇수.

역년(歷年)[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4 페이지 / 전적]

한 왕조가 왕업을 누린 햇수.

역당[팔역가(八域歌) 46 페이지 / 전적]

역적의 무리

역대 성현(歷代聖賢)[자책가(가) 21 페이지 / 전적]

역대의 성인과 현인.

역도법(逆倒法)[대호지로가(호지로가) 12 페이지 / 전적]

정의 수사법 중 변화법의 하나.내용 문장 또는 단어를 정상적인 순서와는 다르게 배열하는 표현법이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