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여천지(與天地)[어와따님요(어와님요) 7 페이지 / 전적]
천지와 더불어.
여천지(與天地)로 해망(偕亡)하니[그리져리구경하고 40 페이지 / 전적]
천지와 더불어 함께 망하니.
여천지(與天地)로 해망(偕亡)하리[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9 페이지 / 전적]
천지와 같이 함께 망함(오래감을 뜻함).
여쳔[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8 페이지 / 전적]
여전하시어. ‘여쳔’은 ‘여전’의 잘못된 표기.
여출일구(如出一口)[선유가라 3 페이지 / 전적]
이구동성(異口同聲)과 같은 뜻.
여탈폐리(如脫廢履)[명륜가(明倫歌) 69 페이지 / 전적]
헌신짝 벗어 던져버리 듯.
여태후(呂太后)[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6 페이지 / 전적]
한(漢) 고조(高祖) 유방(劉邦)의 황후(BC241~BC180)
여태후(呂太后)[조심가라 38 페이지 / 전적]
한고조(漢高祖)의 황후(皇后). 고조가 죽은 뒤, 고조의 후계자를 둘러싼 다툼에서 여태후는 초왕 유여의를 독살하고, 유여의의 모비인 척부인(戚夫人)의 손과 다리를 자르고 눈을 도려내었으며 약으로 귀·목소리를 없애고, 변소에 두어 '인간 돼지'(人猪·人彘)라고 부르게 했다고 함. 중국 역사상 최초의 정식 황후이며, 또한 중국 최초의 황태후.
여태후(呂太后)[조심가라 38 페이지 / 전적]
한고조(漢高祖)의 황후(皇后). 고조가 죽은 뒤, 고조의 후계자를 둘러싼 다툼에서 여태후는 초왕 유여의를 독살하고, 유여의의 모비인 척부인(戚夫人)의 손과 다리를 자르고 눈을 도려내었으며 약으로 귀·목소리를 없애고, 변소에 두어
여투다[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9 페이지 / 전적]
아껴 쓰고 나머지를 모아 두다.
여포[몽유가(몽류가) 4 페이지 / 전적]
동한말(東漢末) 오원(五原) 구원(九原) 사람으로, 자(字)는 봉선(奉先). 용감하고 날래며 사나운 성격으로 무예(武藝)가 뛰어났음. 건안 3년(198)에 조조(曹操)에게 패하여 하비에서 포위 되었는데, 그의 부장이 그를 배반하고 성을 조조에게 바치는 바람에 사로잡혀 죽임을 당함.
여포[몽유가(몽류가) 4 페이지 / 전적]
동한말(東漢末) 오원(五原) 구원(九原) 사람으로, 자(字)는 봉선(奉先). 용감하고 날래며 사나운 성격으로 무예(武藝)가 뛰어났음. 건안 3년(198)에 조조(曹操)에게 패하여 하비에서 포위 되었는데, 그의 부장이 그를 배반하고 성을 조조에게 바치는 바람에 사로잡혀 죽임을 당함.
여풍과이(如風過耳)[헌수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바람이 귀를 스쳐 지나가는 듯 여긴다는 뜻으로, 남의 말을 귀담아듣지 않는 태도를 이르는 말.
여필(汝弼)[한흥가라 58 페이지 / 전적]
윤여필(尹汝弼). 장경왕후(章敬王后)의 부친. 파원부원군(坡原府院君)에 책봉됨.
여필(汝弼)[한흥가라 58 페이지 / 전적]
윤여필(尹汝弼). 장경왕후(章敬王后)의 부친. 파원부원군(坡原府院君)에 책봉됨.
여필(汝弼)[한흥가라 58 페이지 / 전적]
윤여필(尹汝弼). 장경왕후(章敬王后)의 부친. 파원부원군(坡原府院君)에 책봉됨.
여필종부(女必從夫)[헌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아내는 반드시 남편에게 순종(順從)하여야 함.
여필종부(女必從夫)[헌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아내는 반드시 남편에게 순종(順從)하여야 함.
여필종부(女必從夫)[종매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여인은 반드시 남편을 따라야 한다.
여필종부(女必從夫)[회경가 7 페이지 / 전적]
시집간 여자는 지아비를 따라야 한다는 말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