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역마(役馬)[북쳔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수나라, 당나라 때에 동북(東北) 지방에서 한반도 북부에 거주한 퉁구스계의 여러 민족을 통틀어 이르는 말.
역마(驛馬)[연행별곡(연별곡) 5 페이지 / 전적]
각 역참에 갖추어 둔 말.
역명(易名)[송강집(松江集六)6 150 페이지 / 전적]
시호〔謚〕를 이름
역모(逆謀)[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7 페이지 / 전적]
반역을 꾀함.
역모(逆謀)[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6 페이지 / 전적]
①반역(叛逆)을 꾀함 ②또는, 그 꾀.
역목(力牧)[석천집(石川集二-四)2-4 27 페이지 / 전적]
中國 上古時代 黃帝를 도왔던 宰相.
역발기세[효자가 7 페이지 / 전적]
항우(項羽)가 사면초가(四面楚歌)를 당하여 사랑하는 아내 우미인(虞美人)이 자결했을 때 남긴 말인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를 줄인 말이다. 힘은 산을 뽑을 만하고 기개는 아직도 세상을 덮을 만하다는 의미다.
역발산(力拔山)[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74 페이지 / 전적]
힘이 산을 뽑을 만큼 매우 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역발산(力拔山)[자심운수가(심운수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초패왕 항우가 해하 강가에서 유방에게 패한 후에 부른 노래力拔山兮氣蓋世 時不利兮骓不逝 骓不逝兮可奈何 虞兮虞兮奈若何.
역발산(力拔山)의 기개세(氣蓋世)라[초한가라 19 페이지 / 전적]
힘은 산을 뽑고, 기개는 세상을 덮다.
역발산(力拔山)[초한가라 6 페이지 / 전적]
산을 뽑을 만큼 힘이 센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역발산(力拔山)[우미인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힘이 산이라도 빼어 던질 만하고, 세상을 덮을 정도로 기력이 웅대함.
역발산(力拔山)[갑지녹이라 22 페이지 / 전적]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힘이 산이라도 빼어 던질 만하고, 세상을 덮을 정도로 기력이 웅대함.
역발산(力拔山)[갑지녹이라 22 페이지 / 전적]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힘이 산이라도 빼어 던질 만하고, 세상을 덮을 정도로 기력이 웅대함.
역발산(力拔山)[우미인가라 2 페이지 / 전적]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힘이 산이라도 빼어 던질 만하고, 세상을 덮을 정도로 기력이 웅대함.
역발산(力拔山)[춘몽가(츈몽가) 27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하남성(河南省) 무양현(武陽縣)의 고적(古蹟).진(秦)나라의 무양성(武陽城)의 남쪽에 있으며 장양(張良)이 역사(力士)를 시켜 진시황(秦始皇)을 죽이려던 곳으로 유명(有名)함.
역발산(力拔山)[삼팔가(三八歌) 9 페이지 / 전적]
산을 뽑아올릴 만큼 힘이 넘침.
역발산(力拔山)[거창가라 15 페이지 / 전적]
힘이 산을 뽑을 만함.
역발산(力拔山)[아림가(娥林歌) 16 페이지 / 전적]
힘이 산을 뽑을 만함.
역발산(力拔山)[춘몽가(츈몽가) 26 페이지 / 전적]
힘이 산을 뽑을 만큼 매우 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