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실성왕(實聖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7 페이지 / 전적]
신라 제18대 왕(?~417). 성은 김(金). 내물왕이 죽자 즉위하였으며, 고구려ㆍ일본과 수호를 맺었다.
실성통곡(失性痛哭)[환무자탄가 6 페이지 / 전적]
정신에 이상이 생길 정도 슬피 통곡함.
실성통곡(失性痛哭)[봉별가 27 페이지 / 전적]
정신에 이상이 생길 정도로 슬프게 통곡함.
실솔(蟋蟀)[감별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귀뚜라미.
실솔(蟋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2 페이지 / 전적]
「蟋蟀唱」- 詩經 唐風 蟋蟀章을 말함.「蟋蟀在堂 歲聿其莫 今我不樂 日月其除 無巳太康 職思其居 好樂無荒 良士瞿瞿」라 하였음
실솔(蟋蟀)[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7 페이지 / 두루마리]
귀뚜라미
실솔(蟋蟀)[대동가(동가) 19 페이지 / 두루마리]
귀뚜라미.
실솔(蟋蟀)[후원초당 봄이듯이 4 페이지 / 두루마리]
귀뚜라미. 여기서는 귀뚜라미 울음소리.
실솔(蟋蟀)[차운 12 페이지 / 전적]
귀뚜라미.
실솔성(蟋蟀聲)[과부가(寡婦歌) 5 페이지 / 전적]
귀뚜라미의 우는 소리.
실솔성(蟋蟀聲)[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3 페이지 / 전적]
귀뚜라미 우는 소리.
실솔편[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200 페이지 / 전적]
「시전(詩傳)」의 편명. 그 시에 ‘귀뚜라미 마루에 있으니 해가 저물어 가네. 이제 내가 즐기지 않으면 세월은 흐르기만 하리라.‘ 하였음.
실수(失數)[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14 페이지 / 전적]
운이 없다. 찾아온 운을 놓치다.
실시(失時)[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4 페이지 / 전적]
실기(失期). 때를 놓치는 것.
실시(失時)[오륜가라 14 페이지 / 전적]
시기(時機)를 놓침.
실시(失時)[인팔괘변역가(人八卦變易歌) 17 페이지 / 전적]
때를 놓침.
실시(失時)[근농가(勤農歌) 2 페이지 / 전적]
때를 놓침.
실시(失時)[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0 페이지 / 전적]
때, 시기를 노침.
실시(失時)[효행가(효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때를 놓치다.
실시(失時)[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때를 놓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