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실내(室內)[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9 페이지 / 전적]

남의 아내를 점잖게 이르는 말.

실념[사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곡식이나 과일의 열매가 익음

실노씨[역대가라(역가라) 3 페이지 / 전적]

신농씨(神農氏). 옛날 전설에 나오는 삼황(三皇)의 한 사람. 성(姓)은 강(姜)이다. 사람의 몸뚱이에 소의 머리 형상을 하고 있다. 쟁기를 만들고, 백성에게 농사짓는 법을 가르쳤으며, 화덕(火德)으로 임금이 되었다고 한다.

실농(失農)[민농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농사의 시기를 잃거나, 농사에 실패함.

실농씨[오륜가라 6 페이지 / 전적]

실농씨는 신농씨(神農氏)를 가리킴. 신농(神農)은 중국 삼황의 하나로 흔히

실되알고[몽유가(몽류가) 2 페이지 / 전적]

쉴 때 알고.

실되알고[몽유가(몽류가) 2 페이지 / 전적]

쉴 때 알고.

실로[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 페이지 / 전적]

인연으로.

실로자(失路者) 지로(指路)[권왕가 11 페이지 / 전적]

길 잃은 사람에게 길을 가르쳐 인도하는 것.

실리(失利)[경영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손해를 봄.

실모(失母)[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어머니를 여읨.

실모(失母)[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어머니를 여읨.

실모(失母)[환무자탄가 3 페이지 / 전적]

어머니를 여읨.

실보토(實報土)[권왕가 16 페이지 / 전적]

과보토(果報土). 실보 무장애토(實報無障礙土)의 준말. 사토(四土)의 하나. 중도(中道)의 이치를 깨달아 얻은 사람이 가서 나는 정토. 향적 광토 : 상적 광토(常寂光土)의 표기로 판단됨. 사토(四土)의 하나. 변하지 않는 광명의 세계. 부처의 거처나 변하지 않는 마음의 세계를 이르는 말. 상품 연화(上品蓮花) : 극락정토의 최상급 연꽃. 왕생(往生) : 이 세상을 떠나 정토(淨土)에 가 태어나는 일.

실부(失父)[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아버지를 여읨.

실부(失父)[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아버지를 여읨.

실상(實狀)[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11 페이지 / 전적]

실제 사실.

실상(實相)[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7 페이지 / 전적]

모든 것의 있는 그대로의 참모습.

실상(實相)[원적가 3 페이지 / 전적]

모든 것이 지니는 본연의 참모습.

실서남우(室西南隅)[자직가(子職歌) 3 페이지 / 전적]

남향집 방의 서남쪽 모퉁이[隅]가 아랫목[奧].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