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신후사(身後事)[서가여래가사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내 몸이 죽은 뒤의 일. 사후(死後)의 일.
신후사(身後事)[서가여래가사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내 몸이 죽은 뒤의 일. 사후(死後)의 일.
신후사가[착현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미상
신후지사(身後之事)[일회심곡(一回心曲) 9 페이지 / 전적]
죽고 난 후의 일.
신후지책(身後之策)[벌교사(벌교) 11 페이지 / 전적]
사후의 대책.
신훈본분(新薰本分)[초암가 5 페이지 / 전적]
본분은 본래부터 타고난 모습이고, 신훈은 후천적으로 닦아 익히는 것임.
신흠[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24 페이지 / 전적]
본관은 평산이며 호는 상촌으로 어머니는 송인수의 따님. 임란 때 도체찰사 정철의 종사관으로 활동함. 이정구, 장유, 이식과 함께 조선 중기 한문 4대가로 불림. 영의정까지 지냈으며 시호는 문정으로 상촌집, 야언 등이 있다.
신흠(申欽)[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3 페이지 / 전적]
조선 인조 때의 학자ㆍ문신(1566~1628). 자는 경숙(敬叔). 호는 상촌(象村)ㆍ현옹(玄翁)ㆍ현헌(玄軒)ㆍ방옹(放翁). 선조의 유교 칠신의 한 사람이며 정주학자로 유명하다. 저서에 ≪상촌집≫이 있다.
신(新行)의[복션화음록 5 페이지 / 전적]
혼인할 때, 신부가 신랑 집으로 가거나, 신랑이 신부 집에 가는 것을 말한다.
신젼[용문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신행전(新行前). 결혼 전의. 결혼을 하지 않은.
실(蟋)손[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1 페이지 / 전적]
귀뚜라미.
실가(室家)[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0 페이지 / 전적]
집. 또는, 가정.
실가(室家)[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0 페이지 / 전적]
집. 또는 가정.
실가(實家)[인일가라 9 페이지 / 전적]
혼인을 한 경우, 원래 태어난 ‘친정’을 가리키는 말.
실가지락(室家之樂)[고분가 7 페이지 / 전적]
부부사이의 화목한 즐거움.
실가지락(室家之樂)[고분가 7 페이지 / 전적]
부부사이의 화목한 즐거움.
실겅[쳥츈상심곡(쳥츈심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살강. 그릇 따위를 얹기 위하여 부엌의 벽 중턱에 드린 선반.
실과(實果)[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6 페이지 / 전적]
과일.
실기(失氣)[조심가라 34 페이지 / 전적]
정신을 잃음.
실기(失氣)[조심가라 34 페이지 / 전적]
정신을 잃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