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속명하편(續明河篇)[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2 페이지 / 전적]
「續明河篇」―明河는 銀河를 말함.唐나라 詩人 宋之問이 일찌기 明河篇을 지은 바 있는데, 이는 武后時代에 文才가 있는 年少들이 많이 北門學士에 補職되므로 之問이 이 職을 求하자 武后는 許하지 않으며「之問은 口過가 있으니 시킬수 없다」라고 말하였다.그래서 明河篇을 지어 自沒했는데 明河를 武后에게 비유하여, 그 親寵을 얻지 못함을 스스로 슬퍼한 것이다. 선생도 이 篇을 續作한 데는 대개 깊은 뜻이 들어있으리라 생각됨.
속목(續木)[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42 페이지 / 전적]
죄수가 속죄나 속신(贖身)하려고 바치는 목면(木棉).
속믿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7 페이지 / 전적]
「中孚」―孚는 信이니 믿음이 마음속에 있다는 義이다.易卦로풀이하면「二陰이 內에 있고 四陽이 外에 있어 中이 虛하니中孚의 象이 된다」라 하였음.
속발부귀(速発富貴)[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4 페이지 / 전적]
부귀가 빨리 발복됨.
속백(粟帛)[충효가(忠孝歌) 14 페이지 / 전적]
곡식과 비단. 여기서는 영토 안에서 열리는 온갖 먹거리와 입을거리를 통칭함.
속사(俗士)[권션지로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속의 선비.
속사(俗士)[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12 페이지 / 전적]
속사에 능(能)한 인사(人事), 평범(平凡)한 사람.
속사(俗士)[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12 페이지 / 전적]
속사에 능(能)한 인사(人事), 평범(平凡)한 사람.
속사(俗士)[궁장가(宮牆歌) 2 페이지 / 전적]
속사에 능(能)한 인사(人事), 평범(平凡)한 사람.
속사(俗士)[붕우츠회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속된 선비들.
속사(俗士)[도덕구가 1 페이지 / 전적]
속된 선비들.
속사(俗士)[춘몽가(츈몽가) 49 페이지 / 전적]
속세의 선비.
속사(俗士)[도덕가 2 페이지 / 전적]
속세의 선비.
속사(俗士)[춘몽가(츈몽가) 49 페이지 / 전적]
속세의 선비.
속사(俗士)[도덕가 1 페이지 / 전적]
속세의 선비.
속성(俗姓)[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6 페이지 / 전적]
승려가 되기 전의 성.
속성(速成)[몽즁운동가 5 페이지 / 전적]
빨리 이루어짐.
속수무책(束手無策)[추월감 3 페이지 / 두루마리]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함.
속수무책(束手無策)[소년애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손을 묶인 듯이 어찌 할 방책(方策)이 없어 꼼짝 못하게 된다는 뜻으로, 뻔히 보면서 어찌할 바를 모르고 꼼짝 못한다는 뜻.
속수무책(束手無策)[소년애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손을 묶인 듯이 어찌 할 방책(方策)이 없어 꼼짝 못하게 된다는 뜻으로, 뻔히 보면서 어찌할 바를 모르고 꼼짝 못한다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