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소출(所出)[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8 페이지 / 전적]

논밭에서 나는 곡식의 양. 또는, 그 형편.

소출(所出)[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1 페이지 / 전적]

논밭에서 나는 곡식의 양, 또는, 그 형편.

소치(所致)[곽씨세덕가문니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까닭으로 생긴 일.

소치기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5 페이지 / 전적]

「飯牛」 ― 寗戚은 衛人인데 單衣破笠으로 狃山아래서 牧牛하다가 齊桓公이 宋을 치려가는 것을 보고 牛角을 두들기며, 「滄浪之水白石爛 生不逢堯與舜禪 長夜漫漫何時旦」노래하니 桓公은 불러보고서 大夫로 삼았음.

소친정회(所親情懷)[벌교사(벌교) 14 페이지 / 전적]

비슷한 나이에 친하게 지내면서 생각하는 마음.

소친정회(所親情懷)[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1 페이지 / 전적]

비슷한 나이에 친하게 지내면서 생각하는 마음.

소탕(篠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2 페이지 / 전적]

「禹貢篠簜」―書經 禹貢 揚州에「厥貢瑤琨篠簜」이란 대문이 있음. 篠는 箭竹이요, 簜은 大竹임.

소태[형제붕우소회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소태나무의 껍질.

소태백(小太白[비틀노래 4 페이지 / 두루마리]

경상도에 있는 소백산과 태백산을 아울러 이르는 말.

소태백을[은삭가 5 페이지 / 전적]

소백산(小白山)과 태백산(太白山)을 아울러 이르는 말.

소태백을[은삭가 5 페이지 / 전적]

소백산(小白山)과 태백산(太白山)을 아울러 이르는 말.

소통사(小通事)[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49 페이지 / 전적]

명나라에다 중국말로 통역하는 역관.

소평(邵平)[송강집(松江集一)1 46 페이지 / 전적]

소평(邵平)은 진(秦)나라 동능후(東陵候)였는데 진나라가 망하자 포의(布衣)가 되어 장안성(長安城) 동쪽에서 외를 심었다. 그래서 세상이 동능과(東陵瓜)라 칭하고 청문과(靑門瓜)라고도 칭하였음.

소평(邵平)[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진(秦)나라 때 사람.

소평(邵平)[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진(秦)나라 때 사람.

소풍(消風)[환무자탄가 20 페이지 / 전적]

기분을 돌리거나 머리를 식히기 위해 바깥에 나가 바람을 쐬는 일.

소피(所避.小避)[회심곡 15 페이지 / 두루마리]

오줌 누는 일을 완곡하게 이르는 말.

소하(蕭何)[사미인곡 3 페이지 / 전적]

중국 한고조 유방의 재상, 초나라 항우와의 싸움에서 관중에 머물며 주로 양식과 군병의 보급을 맡아 했음. 고조가 즉위할 때에는 논공행상에서 으뜸가는 공신으로 꼽혔음.

소하(蕭何)[초한가라 4 페이지 / 전적]

한의 참모. 한신, 장량과 함께 한삼걸이라 칭해진다.

소하(蕭何)[창덕가2 84 페이지 / 전적]

중국 한(漢)나라 고조(高祖)의 공신(功臣).시호(諡號)는 문종(文終).고조를 도와 천하를 통일하였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