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성인성자(聖人聖字)[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3 페이지 / 전적]

성인(聖人)을 의미하는 ‘성(聖)’이라는 글자. 성인(聖人)은 사리(事理)에 통달하고 덕과 지혜가 뛰어나 길이길이 받들어지고, 만인(萬人)의 스승이 되는 사람을 일컬음.

성인의 의(義)를 배우다가 편벽되이 위아(爲我)만을 주장한 자가 바로 양주(楊朱)입니다.[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104 페이지 / 전적]

묵적(墨翟)과 양주는 모두 춘추(春秋)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묵적은 인(仁)을 강조하여 모든 사람을 똑같이 사랑하여야 한다는 겸애설(兼愛說)을 주장하였으며, 양주는 의(義)를 강조하여 지신의 지조를 지켜야 한다는 위아설(爲我設)을 주장하였는데, 뒤에 이들 사상의 병폐가 심화되자, 맹자는 묵적의 겸애설을 무부(無父)의 가르침이라 비판하였고, 양주의 위아설을 무군 (無君)의 가르침이라고 비판하였다

성인지덕(聖人之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0 페이지 / 전적]

성인(聖人)의 덕.

성인지덕(聖人之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0 페이지 / 전적]

성인(聖人)의 덕.

성인지언(聖人之言)[신자가(信字歌) 9 페이지 / 전적]

성인(聖人)의 말.

성인취의(成仁取義)[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3 페이지 / 전적]

인을 이루고, 의를 취하다.

성인택(聖人擇)[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성인들이 가려냄.

성인현철(聖人賢哲)[팔도안희가 15 페이지 / 전적]

성인(聖人)은 사리(事理)에 통달(通達)하고 덕과 지혜(智慧)가 뛰어나 길이 길이 우러러 받들어지고 만인(萬人)의 스승이 될 만한 사람을 말하고, 현철(賢哲) 어질고 사리에 밝은 사람을 말한다.

성일(聖日)[화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성스러운 해 또는 날.

성일(聖日)[화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성스러운 해 또는 날.

성자성손[은삭가 3 페이지 / 전적]

임금의 자손을 높여 이르는 말.

성자성손[은삭가 3 페이지 / 전적]

임금의 자손을 높여 이르는 말.

성자신손(聖子神孫)[낙지가 4 페이지 / 전적]

자자손손.

성자신손(聖子神孫)[경술가 6 페이지 / 전적]

성군의 자손.

성자신손(聖子神孫)[옥셜화답 5 페이지 / 전적]

성군의 자손.

성자현손(聖子玄孫)[만수가(만슈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훌륭한 자손.

성자현손(聖子玄孫)[만수가(만슈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훌륭한 자손.

성장(成章)이라[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글을 이루노라. 본 가사의 제작을 두고 이르는 말임. 이 가사의 앞부분 단 락에서는 “초육일(初六日) 성회(成會)”라 하여 가사 제작의 시기를 짐작케 한다.

성재공(省齊公)[충효가 6 페이지 / 전적]

남극엽의 증조부인 남몽구의 호. 효행으로 널리 알려졌다고 함.

성재성공[팔역가(八域歌) 18 페이지 / 전적]

재주를 이루고 공을 이룸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