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성취(成就)[경노의심곡 10 페이지 / 두루마리]
목적한 바를 이루어 냄.
성취(성취)[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3 페이지 / 전적]
목적한 바를 이룸.
성친(省親)[효자가 5 페이지 / 전적]
어버이의 안부를 살핌. 귀성(歸省).
성친(省親)[효자가 6 페이지 / 전적]
어버이의 안부를 살핌. 귀성(歸省).
성탕(成湯)[ 1 페이지 / ]
성왕과 탕왕.
성탕(成湯)[무제 13 페이지 / 전적]
성왕과 탕왕.
성탕(成湯)[용산세보(蓉山世寶) 2 페이지 / 전적]
성왕과 탕왕.
성탕씨(成湯氏)[시절가 11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상(商)나라를 창건한 왕. 걸왕을 명조(鳴條)에서 격파하여 패사시키고 박(亳)에 도읍하여 국호를 상(商)이라 정하여, 제도와 전례를 정비하고 13년간 재위함.
성탕지덕(成湯之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8 페이지 / 전적]
중국 은(殷)나라 탕왕(湯王)의 덕. 탕왕은 포악무도(暴惡無道) 했던 하(夏)나라의 걸왕(桀王)을 물리치고 은(殷)나라를 창건한 왕으로 성탕(成湯)이라고도 함.
성탕지덕(成湯之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8 페이지 / 전적]
중국 은(殷)나라 탕왕(湯王)의 덕. 탕왕은 포악무도(暴惡無道) 했던 하(夏)나라의 걸왕(桀王)을 물리치고 은(殷)나라를 창건한 왕으로 성탕(成湯)이라고도 함.
성튼[백발가(白髮歌) 10 페이지 / 전적]
성하던.
성품 성(性)자[셩경가 9 페이지 / 전적]
성품을 뜻하는 글자 성(性)을 가리킴.
성품 성(性)자[셩경가 9 페이지 / 전적]
성품을 뜻하는 글자 성(性)을 가리킴.
성품(性品)[백발가(白髮歌) 6 페이지 / 전적]
사람의 성질이나 됨됨이.
성하던[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2 페이지 / 전적]
몸에 병이나 탈이 없는.
성학(聖學)[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3 페이지 / 전적]
유학(儒學). 성인(聖人)이 가르친 학문.
성학십도(聖學十圖)[ 1 페이지 / ]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1568년 경연(經筵)에서 선조(宣祖)에게 유학의 대강을 풀이하여 밝히고 심법(心法)의 요점을 명시하기 위하여 여러 유학자들의 학설과 도설(圖說)을 근거로 자신의 견해를 부연하여 만든 책. 1. 염계(濂溪)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太極圖說)을 근거한 태극도(太極圖), 2. 횡거(橫渠) 장재(張載)의 서명(西銘圖), 3. 주희(朱熹)의「소학(小學)」을 근거한 소학도(小學圖), 4.「대학(大學)」을 근거한 대학도(大學圖), 5. 주희의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의 규약을 근거한 백록동규(白鹿洞規), 6. 정복심(程復心)의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를 수정보완한 심통성정도, 7. 공자(孔子)의 인사상(仁思想)을 근거한 인설도(仁設圖), 8. 정복심의 심학도(心學圖)를 근거한 심학도, 9. 주희의 경재잠(敬齋箴)을 근거한 경재잠도, 10. 남당(南塘) 진백(陣柏)의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을 근거한 숙흥야매잠도 이다
성학십도(聖學十圖)[고봉선생문집 권삼(高峰先生文集 券三) 8 페이지 / 전적]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1568년 경연(經筵)에서 선조(宣祖)에게 유학의 대강을 풀이하여 밝히고 심법(心法)의 요점을 명시하기 위하여 여러 유학자들의 학설과 도설(圖說)을 근거로 자신의 견해를 부연하여 만든 책. 1. 염계(濂溪)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太極圖說)을 근거한 태극도(太極圖), 2. 횡거(橫渠) 장재(張載)의 서명(西銘圖), 3. 주희(朱熹)의「소학(小學)」을 근거한 소학도(小學圖), 4.「대학(大學)」을 근거한 대학도(大學圖), 5. 주희의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의 규약을 근거한 백록동규(白鹿洞規), 6. 정복심(程復心)의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를 수정보완한 심통성정도, 7. 공자(孔子)의 인사상(仁思想)을 근거한 인설도(仁設圖), 8. 정복심의 심학도(心學圖)를 근거한 심학도, 9. 주희의 경재잠(敬齋箴)을 근거한 경재잠도, 10. 남당(南塘) 진백(陣柏)의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을 근거한 숙흥야매잠도 이다
성한 업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9 페이지 / 전적]
「伊咎」-伊臯와 같은데 伊尹과 臯陶 이름 咎는 臯와 통함
성한시에[자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성(盛)한 때에. 곧 나무나 풀이 싱싱하게 우거질 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