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성제(聖帝)[오황불이 3 페이지 / 전적]

어질고 덕이 뛰어난 임금.

성제(聖帝)[얼씨고나 1 페이지 / 전적]

어질고 덕이 뛰어난 임금.

성제명왕(聖帝明王)[몽즁운동가 5 페이지 / 전적]

덕이 높고 지혜로운 임금.

성조(成造)[정토발원문(淨土發願文) 21 페이지 / 전적]

지어 만듦.

성조(成造)[초암가 2 페이지 / 전적]

지어 만듦.

성종(成宗)[한양가라 55 페이지 / 전적]

조선의 제9대 왕(1457~1494)으로 숭유억불(崇儒抑佛) 정책을 추진하고 사림파를 등용하는 등 조선 전기의 문물 제도를 거의 정비하는 업적을 세웠다.

성종(成宗)[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9 페이지 / 전적]

고려의 제6대 왕(960~997)으로 이름은 치(治), 자는 온고(溫古)이다. 고려 초기의 제반 문물 제도를 정비하고, 유교를 국가의 지도 원리로 삼아 중앙 집권적인 봉건 제도를 확립하였다. 재위 기간은 982~997년이다.

성종(成宗)[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5 페이지 / 전적]

조선 제9대 왕(재위 1469∼1494). 세종·세조의 치적을 기반으로 문화정책을 폈다. 숭유억불 정책을 철저히 시행했고 《경국대전》과 이를 보충한 《대전속록》을 간행했다. 조선 전기의 문물제도는 성종 때 거의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성종(成腫)[북쳔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곪아 부스럼이 됨.

성종노(成終奴)와 한아복(漢我服[한흥가라 62 페이지 / 전적]

본 가사의 내용에 의하면 논개와 함께 진주 남강에 빠져 죽음. 가토 기요마사의 부장으로 추정.

성종노(成終奴)와 한아복(漢我服)[한흥가라 62 페이지 / 전적]

본 가사의 내용에 의하면 논개와 함께 진주 남강에 빠져 죽음. 가토 기요마사의 부장으로 추정.

성종노(成終奴)와 한아복(漢我服)[한흥가라 62 페이지 / 전적]

본 가사의 내용에 의하면 논개와 함께 진주 남강에 빠져 죽음. 가토 기요마사의 부장으로 추정.

성종대왕(成宗大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0 페이지 / 전적]

조선의 제9대 왕(1457~1494)으로 이름은 혈(娎)이다. 숭유억불(崇儒抑佛) 정책을 추진하고 사림파를 등용하였다. 조선 전기의 문물 제도를 거의 완성하였으며,

성종대왕(成宗大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9 페이지 / 전적]

조선의 제9대 왕(1457~1494). 이름은 혈(娎). 숭유억불(崇儒抑佛) 정책을 추진하고 사림파를 등용하였다. 조선 전기의 문물제도를 거의 완성하였으며, ≪경국대전≫을 반포하였다. 재위 기간은 1469~1494년이다.

성종지경(成腫地境)[북쳔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종기가 완전히 곪아 부스럼이 될 정도의 형편.

성좌(省座)[송강집(松江集五)5 32 페이지 / 전적]

의정부(議政府), 의금부(義禁府), 사헌부(司憲府)가 모인 자리, 또는 삼부(三府)라고도 함.

성죄축출(聲罪逐出)[명륜가(明倫歌) 89 페이지 / 전적]

죄를 성토하고 쫓아 냄.

성주(星州)[한양가라 95 페이지 / 전적]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聖主)[셔유곡 19 페이지 / 전적]

성군(聖君)(어질고 덕이 뛰어난 임금).

성주대주 )[간양되소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성주는 가정에서 모시는 신의 하나. 집의 건물을 수호하며, 가신(家神) 가운데 맨 윗자리를 차지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