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성상(成相)[셩경가 3 페이지 / 전적]

육상의 하나. 우주 만물의 여러 가지 존재가 서로 의지하여 동일체(同一體)를 이루는 형상을 이른다.

성상(聖上)[심심가(尋心歌) 8 페이지 / 전적]

살아 있는 자기 나라의 임금을 높여 이르는 말.

성상(聖上)[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살아 있는 임금을 높여 이르는 말

성상(聖上)[심심가(尋心歌) 8 페이지 / 전적]

살아 있는 자기 나라의 임금을 높여 이르는 말.

성상(聖上)[로인가 17 페이지 / 전적]

살아 있는 자기 나라의 임금을 높여 이르는 말.

성상(聖上)[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살아 있는 임금을 높여 이르는 말

성상(聖上)[옥산가라 24 페이지 / 전적]

살아 있는 자기 나라의 임금을 높여 이르는 말.

성상(聖上)[회혼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살아있는 자가 자기 나라의 임금을 높여 이르는 말.

성상(聖上)[북쳔가 42 페이지 / 두루마리]

살아있는 자기 나라의 임금을 높여 이르는 말.

성상(聖上)[용문가라 3 페이지 / 전적]

살아 있는 자기 나라의 임금을 높여 이르는 말.

성상(聖上)[가사소리 7 페이지 / 전적]

살아있는 자기 나라의 임금을 높여 이르는 말.

성상(聖上)[영산초장이라 3 페이지 / 전적]

현재 나라를 다스리는 임금.

성상(聖上)[도덕가라 1 페이지 / 전적]

현재 나라를 다스리는 임금.

성상배[팔역가(八域歌) 14 페이지 / 전적]

당태종이 30만 대군을 이끌고 왔다가 포기하고 돌아가자 안시성 장수 양만춘이 성 위에서 절을 했다함

성상소(城上所)[송강집(松江集四)4 92 페이지 / 전적]

이조 때의 직소(職所)의 하나로 양사(兩司)의 관원이 대궐문 위에서 드나드는 백관(百官)을 살피던 곳이다.

성상소(城上所)[문청공유사 사계수필(文淸公遺事 沙溪手筆) 25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사헌부(司憲府), 사간원(司諫院)의 벼슬아치가 대궐문 위에서 백관을 감찰하고 공사(公事)를 출납하던 곳.

성색(聲色)[교몽가 3 페이지 / 전적]

말소리와 얼굴빛을 아울러 이르는 말.

성서(聖書)[막소가(莫笑歌) 6 페이지 / 전적]

성인이 지은 책, 교리를 기록한 경전.

성석인(成石因)[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9 페이지 / 전적]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1414), 초명은 석연이었으나 국왕의 휘(諱)를 피하여 석인(石因)으로 개명하였다. 자는 자유(自由), 호(號)는 상곡(桑谷)이다. 1377년(우왕 3) 문과에 급제하여 고려에서 지평(持平)·경연강독관(經筵講讀官)을 역임하였다. 다시 조선왕조에서 강원도도관찰사·충청도도관찰사를 거쳐 경연관·사헌부대사헌·예문관대제학과 형조·호조·예조 등의 판서를 역임하였다. 예조판서로서 조정의 일을 의논 중에 졸도하여 순직하였다. 시호는 정평(

성성(星星)[농어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머리털 따위가 희끗희끗하게 세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