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성관(成冠)[종매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관례를 행함.
성관(誠款)[헌수가라 14 페이지 / 두루마리]
정성스러운 마음.
성관(誠款)[헌수가라 14 페이지 / 두루마리]
정성스러운 마음.
성교(成敎)[통륜가(通倫歌) 3 페이지 / 전적]
가르침이 이루어짐.
성교(聖敎)[권왕가 4 페이지 / 전적]
석가 소설(釋迦所說)의 교법. 또는, 그 밖의 성자의 불교 전적.
성교군(聖敎君)[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4 페이지 / 전적]
성교(聖敎)란 성인의 가르침 또는 가톨릭교를 뜻하는데, 여기에서는 가톨릭교를 이르는 듯하다.
성군(聖君)[한양가라 18 페이지 / 전적]
어질고 덕이 뛰어난 임금
성군(聖君)[옥설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어질고 덕이 뛰어난 임금.
성군(聖君)[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8 페이지 / 전적]
덕이 아주 뛰어난 어진 임금.
성군취당(成群聚黨)[권학가 6 페이지 / 전적]
모여서 무리를 이룸.
성궐(城闕)[연행별곡(연별곡) 21 페이지 / 전적]
도성 전체를 이르는 말.
성균관(成均館)[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4 페이지 / 전적]
유학의 교육을 맡아보던 관아로 공자를 제사하는 문묘와 유학을 강론하는 교육기관.
성균관(成均館)[거창가 2 페이지 / 전적]
조선조 국학(國學). 공자를 제사하는 문묘(文廟)와 성학(聖學)을 강학하는 명륜당(明倫堂)을 총칭하는 말. 국자감(國子監), 태학(太學) 등으로 불리기도 함.
성균관(成均館)[거창가 2 페이지 / 전적]
조선조 국학(國學). 공자를 제사하는 문묘(文廟)와 성학(聖學)을 강학하는 명륜당(明倫堂)을 총칭하는 말. 국자감(國子監), 태학(太學) 등으로 불리기도 함.
성균관(成均館)[한양가라 21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유학의 교육을 맡아보던 관아. 태조 7년(1398)에 설치하여 융희 4년(1910)에 없앴다.
성균관(成均館)[셔유곡 11 페이지 / 전적]
고려·조선조 때 있었던 유학교육의 최고학부. 신라 시대는 국학(國學), 고려 시대는 국자감(國子監) 등으로 불리움. 조선조 시대에는 태조 7(1398)년에 숭교방(崇敎坊;明倫洞)에 창설. 공자를 비롯한 성현을 제사하는 문묘(文廟)와 유학을 가르치는 명륜당(明倫堂), 그리고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서 양재(東西兩齋) 및 부속 건물의 총칭.
성균관(成均館)[거창가라 9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유학의 교육을 맡아보던 관아.공자를 제사하는 문묘와 유학을 강론하는 명륜당 따위로 이루어지며, 태조 7년(1398)에 설치하여 고종 24년(1887)에 경학원으로 고쳤다가 융희 4년(1910)에 없앴다.반관(泮館)ㆍ태학(太學).
성균관(成均館)[아림가(娥林歌) 10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유학의 교육을 맡아보던 관아. 공자를 제사하는 문묘와 유학을 강론하는 명륜당 따위로 이루어지며, 태조 7년(1398)에 설치하여 고종 24년(1887)에 경학원으로 고쳤다가 융희 4년(1910)에 없앴다. 반관(泮館)ㆍ태학(太學).
성균관(成均館)[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6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유학의 교육을 맡아보던 관아. 공자를 제사하는 문묘와 유학을 강론하는 명륜당 등으로 이루어지며, 태조 7년(1398)에 설치하여 융희 4년(1910)에 없앴다.
성균진사(成均晉士)[ 1 페이지 / ]
진(晋)은 본디 진(進)자이나 고봉 자신의 아버지 이름자가 진(進)이므로 휘(諱)하여 뜻과 음이 같은 진(晋)자로 쓴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