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성복전(成服奠)[오윤가 13 페이지 / 전적]
초상이 나서 처음으로 상복을 입을 때에 차리는 전(奠).
성부(城府)[ 1 페이지 / ]
성시(城市). 성으로 둘러싸인 시가.
성부(城府)[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9 페이지 / 전적]
성시(城市). 성으로 둘러싸인 시가.
성분(性分)[삼강오륜가 서 3 페이지 / 전적]
타고난 바탕의 본분.
성분(成墳)[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9 페이지 / 전적]
흙을 둥글게 쌓아 올려서 무덤을 만듦.
성불(成佛[초암가 6 페이지 / 전적]
부처가 되는 일. 보살이 자리(自利)와 이타(利他)의 덕을 완성하여 궁극적인 깨달음의 경지를 실현하는 것을 이름.
성불(成佛)[권왕가 25 페이지 / 전적]
득불(得佛). 모든 번뇌를 끊고 해탈하여 불과(佛果)를 얻는 것. 부처가 되는 것.
성불(成佛)[교몽가 2 페이지 / 전적]
부처가 되는 일. 보살이 자리(自利)와 이타(利他)의 덕을 완성하여 궁극적인 깨달음의 경지를 실현하는 것을 이름.
성비(盛備)[헌수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잔치 따위를 성대하게 베풂, 또는 그런 차림.
성비(盛備)[헌수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잔치 따위를 성대하게 베풂, 또는 그런 차림.
성사(城社)[송강집(松江集四)4 132 페이지 / 전적]
성호사서(城狐社鼠)를 이름인데 즉 임금의 옆에 있는 간신에 비유.
성사겸(成思謙)[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71 페이지 / 전적]
무학대사.
성사육신(成死六臣)[팔도안희가 7 페이지 / 전적]
사육신 중 한 분인 성삼문(成三問:1418-1456)을 말한다.
성산(星山)[성산별곡 3 페이지 / 전적]
전남 담양군 남면 지곡리에 소재한 산. 우리말 이름 “별뫼”.
성산별곡(星山別曲)[석촌별곡 6 페이지 / 전적]
성산의 식영정을 무대로 제작된, 송강가사(松江歌辭) 중의 한 작품.
성삼문(成三問)[한양가라 19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종 때의 문신(1418~1456)으로 호는 매죽헌(梅竹軒)이다. 집현전 학사로서 세종을 도와
성삼문(成三問)[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2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종 때의 문신(1418~1456)으로 자는 근보(謹甫), 호는 매죽헌(梅竹軒)이다.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세조 원년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실패하여 처형되었다. 저서에
성삼문(成三問)[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9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종 때의 문신(1418~1456). 자는 근보(謹甫). 호는 매죽헌(梅竹軒). 집현전 학사로 세종을 도와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세조 원년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실패하여 처형되었다. 저서에 ≪성근보집(成謹甫集)≫이 있다.
성상 원자를 낳으시도다[경술가 6 페이지 / 전적]
정조실록』, 정조 14년(1790) 6월 19일조. 신시(申時)에 창경궁 집복헌(昌慶宮集福軒)에서 원자(元子)가 태어났으니, 유빈 박씨(緌嬪朴氏)가 낳았다. 이날 새벽에 금림(禁林)에는 붉은 광채가 있어 땅에 내리비쳤고 해가 한낮이 되자 무지개가 태묘(太廟)의 우물 속에서 일어나 오색광채를 이루었다. 백성들은 앞을 다투어 구경하면서 이는 특이한 상서라 하였고 모두들 뛰면서 기뻐하였다.
성상(成相)[셩경가 3 페이지 / 전적]
육상의 하나. 우주 만물의 여러 가지 존재가 서로 의지하여 동일체(同一體)를 이루는 형상을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