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성균진사(成均晉士)[고봉선생문집 권삼(高峰先生文集 券三) 4 페이지 / 전적]

진(晋)은 본디 진(進)자이나 고봉 자신의 아버지 이름자가 진(進)이므로 휘(諱)하여 뜻과 음이 같은 진(晋)자로 쓴 것임.

성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65 페이지 / 전적]

「暗香踈影」-宋나라 孤山處士 林通의 梅花詩에 『踈影橫斜水淸淺 暗香浮動月黃昏』의 句는 梅花의 傳神으로 千古에 有名함.

성긴[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3 페이지 / 두루마리]

물건의 사이가 듬성듬성 뜨다.

성남(城南)[제면암최선생익현동업기비봉 3 페이지 / 전적]

도성(都城)의 남쪽.

성내(城內)[북쳔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성 안.

성녀(聖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28 페이지 / 전적]

「聖女」―文王의 后妃 太似를 이름. 詩經 大雅 大明에 「文王初載 天作之合 在治之陽 在渭之涘」라 하였음.

성단(星壇)[칠녀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고대 미성(尾星)과 기성(箕星)에 제사 지내던 단.

성단효잠잔월백(聲斷曉岑殘月白)[한양가라 28 페이지 / 전적]

새벽에 우는 소리 달빛도 스러지고

성담수(成耼壽)[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4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조 때 생육신의 한 사람(?~1456)으로 자는 미수(眉叟), 호는 인재(仁齋)이다. 단종 복위 사건에 연루되어 김해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으나, 그 뒤에 벼슬을 단념하고 고향에 은거하였다.

성당(成黨)[긔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도당(徒黨)을 이룬.

성당(盛唐)[송강집(松江集一)1 173 페이지 / 전적]

당(唐)나라 현종(玄宗)때부터 대종(代宗)때까지 이태백(李太白) 두보(杜甫)등 대시인(大詩人)이 태어난 때를 이름.

성당창[팔역가(八域歌) 43 페이지 / 전적]

함열에 있던 조운창

성대공하는 자는 불모어중[成大功者 不謀於衆]한다[심심가(尋心歌) 56 페이지 / 전적]

큰 공을 이루는 자는 보통 사람들과 꾀를 같이 하지 않는다.

성대공하는 자는 불모어중[成大功者 不謀於衆]한다[심심가(尋心歌) 56 페이지 / 전적]

큰 공을 이루는 자는 보통 사람들과 꾀를 같이 하지 않는다.

성덕(成德)[근부가(謹婦歌) 6 페이지 / 전적]

덕을 닦아 일가(一家)를 이룸.

성덕(成德)[부덕가(婦德歌) 2 페이지 / 전적]

덕을 닦아 일가(一家)를 이룸.

성덕(盛德)[의향소창가 26 페이지 / 전적]

크고 높은 덕.

성덕(盛德)[리행소챙가 16 페이지 / 전적]

크고 높은 덕.

성덕(盛德)[북쳔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크고 훌륭한 덕.

성덕(盛德)[오륜가라 18 페이지 / 전적]

크고 훌륭한 덕.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