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선릉(宣陵)[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1 페이지 / 전적]

조선 성종과 계비 정현(貞顯) 왕후의 능.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다.

선리(仙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0 페이지 / 전적]

「仙李」- 神仙傳에『老子는 갓 낳았을 적부터 말을 잘하여 李樹을 가리키며 「이로써나의 姓을 한다』라 했음. 그래서 仙李라는 말이 나오게 된것임. 杜甫詩에「仙李蟠根大」라는 句가 보임.

선리건곤(仙李乾坤)[낙지가 4 페이지 / 전적]

이씨 조선의 시작.

선망후실(先忘後失)[사친가2(思親歌(二)) 2 페이지 / 전적]

자꾸 잊어버리기를 잘함.

선망후실(先忘後失)[말이타국원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자꾸 잊어버리기를 잘함.

선명(宣命)[어와따님요(어와님요) 4 페이지 / 전적]

분명하게 널리 말하여 밝힘.

선모[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44 페이지 / 전적]

말의 털 결이 선회한 모양으로 된 것.《爾雅注》에 ‘선모가 배 아래에 젖꼭지처럼 나면 천리마이다.‘ 하였음.

선무포(選武布)[거창가 17 페이지 / 전적]

선무군관(選武軍官)에게 주던 보포(保布). 지방 향군(鄕軍) 중에서 선출된 군관 을 선무군관이라 함.

선무포(選武布)[거창가 17 페이지 / 전적]

선무군관(選武軍官)에게 주던 보포(保布). 지방 향군(鄕軍) 중에서 선출된 군관 을 선무군관이라 함.

선무포(選武布)[거창가라 21 페이지 / 전적]

선무군관(選武軍官)의 보포.지방 향군 중에서 선출된 군관을 선무군관이라 하며, 이 군관에게 주던 보포를 말한다.

선무포(選武布)[거창가라 23 페이지 / 전적]

선무군관(選武軍官)의 보포.지방 향군 중에서 선출된 군관을 선무군관이라 하며, 이 군관에게 주던 보포를 말한다.

선무포(選武布)[아림가(娥林歌) 22 페이지 / 전적]

선무군관(選武軍官)의 보포. 지방 향군 중에서 선출된 군관을 선무군관이라 하며, 이 군관에게 주던 보포를 말한다.

선무포(選武布)[아림가(娥林歌) 25 페이지 / 전적]

선무군관(選武軍官)의 보포. 지방 향군 중에서 선출된 군관을 선무군관이라 하며, 이 군관에게 주던 보포를 말한다.

선무포(選武布)가 당(當)한말가[거창가 20 페이지 / 전적]

양반들에게는 선무포의 의무가 없었음.

선무포(選武布)가 당(當)한말가[거창가 20 페이지 / 전적]

양반들에게는 선무포의 의무가 없었음.

선문(先文)[갑지녹이라 5 페이지 / 전적]

노문(路文)-공무로 지방에 가는 관리의 도착 예정일을 미리 그 곳 관아에 알리던 공문.

선문(先文)[갑지녹이라 6 페이지 / 전적]

중앙 관리가 지방에 출장 갈 때 그곳에 도착 날짜를 미리 알리던 공문.

선문후무(先文後武)[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15 페이지 / 전적]

앞서 문관을 지내다가 뒤에 무관을 지낸다.

선미(鮮味)[청년남녀훈계가 7 페이지 / 전적]

맛이 뛰어남.

선미(鮮味)[청년남녀훈계가 7 페이지 / 전적]

맛이 뛰어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