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8,590개

군신지의(君臣之義)[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9 페이지 / 전적]

임금과 신하의 의.

군실(君實)[송강집(松江集六)6 10 페이지 / 전적]

사마광(司馬光)의 자(字)

군아(君牙)[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21 페이지 / 전적]

「康王君牙」-書經 君牙篇을 말함인데 이는 康王이 아니라 그 孫穆王 이 君牙를 命하여 大司徒로 삼은 誥命 이다。여기 康王 은 穆王 의 誤임。

군약(君藥)[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68 페이지 / 전적]

「君臣藥」―君臣佐使의 略稱임. 夢溪筆談에『舊說에 「用藥함에 있어 一君 二臣 三佐 五使가 있다」했는데 그 뜻은 病을 맡아 다스리는 것은 오로지한 물건에 있고 그 나머지는 서로 用이 되어 大略은 서로 統制한다는 것이다』라 하였음.

군역택신(君亦擇臣)[명륜가(明倫歌) 48 페이지 / 전적]

임금도 역시 신하를 선택함.

군옥[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205 페이지 / 전적]

군옥은 관원(灌園) 박계현(朴啓賢)의 자(字)

군왕(君王)[쟝한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군주국가의 원수.

군위신강(君爲臣綱)[삼강오륜가 서 2 페이지 / 전적]

삼강(三綱)의 하나. 임금은 신하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는 말.

군위신강(君爲臣綱)[삼강오륜가 서 5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주9 참조.

군위신강(君爲臣綱)[종매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신하는 임금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

군유(群有)[고분가 3 페이지 / 전적]

이 세상에 있는 모든 사물.

군유(群有)[고분가 3 페이지 / 전적]

이 세상에 있는 모든 사물.

군은(君恩)[북쳔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의 은혜.

군은(君恩)[팔도가 3 페이지 / 전적]

임금의 은혜.

군은(君恩)[팔도가 3 페이지 / 전적]

임금의 은혜.

군의신충(君義臣忠)[명륜가(明倫歌) 44 페이지 / 전적]

임금은 신하를 의리로 대하고 신하는 임금을 충성으로 받듦.

군의신충(君義臣忠)[조심가라 16 페이지 / 전적]

임금은 의롭고 신하는 충성스러움.

군의신충(君義臣忠)[조심가라 16 페이지 / 전적]

임금은 의롭고 신하는 충성스러움.

군의신충(君義臣忠)[한양가라 17 페이지 / 전적]

임금은 신하에게 의리를, 신하를 임금에게 충성을 다한다는 뜻.

군의신충(君義臣忠)[창덕가2 17 페이지 / 전적]

임금은 의롭고 신하는 충성스러움.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