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8,590개

군신유의(君臣有義)[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6 페이지 / 전적]

오륜(五倫)의 하나.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義理)에 있음.

군신유의(君臣有義)[오륜가라 3 페이지 / 전적]

오륜(五倫)의 하나.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君臣有義)[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88 페이지 / 전적]

오륜(五倫)의 하나로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름.

군신유의(君臣有義)[오윤가 7 페이지 / 전적]

오륜(五倫)의 하나.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뜻함.

군신유의(君臣有義)[오윤가 16 페이지 / 전적]

오륜(五倫)의 하나.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뜻함.

군신유의(君臣有義)[의로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

군신유의(君臣有義)[조심가라 16 페이지 / 전적]

오륜(五倫)의 하나.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름.

군신유의(君臣有義)[청년남녀훈계가 7 페이지 / 전적]

군주와 신하의 관계는 의리를 바탕에 두어야 한다는 유교의 원리.

군신유의(君臣有義)[의로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

군신유의(君臣有義)[조심가라 16 페이지 / 전적]

오륜(五倫)의 하나.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름.

군신유의(君臣有義)[청년남녀훈계가 7 페이지 / 전적]

군주와 신하의 관계는 의리를 바탕에 두어야 한다는 유교의 원리.

군신유의(君臣有義)[시절가 5 페이지 / 전적]

군주와 신하의 관계는 의리를 바탕에 두어야 한다는 유교의 원리.

군신유의(君臣有義)[지리산이수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리가 있어야 함.

군신제회[팔역가(八域歌) 5 페이지 / 전적]

임금과 신하가 뜻이 맞음

군신지의(君臣之義)[한흥가라 15 페이지 / 전적]

임금과 신하 사이의 의리(義理).

군신지의(君臣之義)[한흥가라 15 페이지 / 전적]

임금과 신하 사이의 의리(義理).

군신지의(君臣之義)[한흥가라 15 페이지 / 전적]

임금과 신하 사이의 의리(義理).

군신지의(君臣之義)[한양가라 14 페이지 / 전적]

임금과 신하가 지녀야 할 도리로는 ‘의(義)’에 있음을 말하는 것으로, 오륜(五倫)의 ‘군신유의(君臣有義)’와 같은 말이다.

군신지의(君臣之義)[사군가(事君歌) 9 페이지 / 전적]

임금과 신하의 의리.

군신지의(君臣之義)[신절가(臣節歌) 1 페이지 / 전적]

임금과 신하의 의리.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