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구각시일(晷刻時日)[해몽가라(몽가라) 18 페이지 / 전적]
잠깐 동안. 또는 짧은 시간.
구간(九干)[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4 페이지 / 전적]
가야국 초기의 아홉 추장을 이르는 말로 아도간(我刀干), 여도간(汝刀干), 피도간(彼刀干), 오도간(五刀干), 유수간(留 水干), 유천간(留天干), 신천간(神天干), 오천간(五天干), 신귀간(神鬼干)을 이른다.
구간(苟艱)하다[김씨효행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몹시 구차하고 가난하다.
구갈(口渴)[거창가라 18 페이지 / 전적]
목이 마름.
구갈(口渴)[아림가(娥林歌) 18 페이지 / 전적]
목이 마름.
구강풍(九降風)[자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구월에 된바람이 한 달이 넘도록 부는 바람.
구격(具格)[초암가 4 페이지 / 전적]
격식을 갖춤. 또는 격식에 맞음.
구겸지(寇謙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48 페이지 / 전적]
「寇謙之」-後魏人인데 讚의 弟이며 道術이 있어 스스로의 말이 仙人을 만나 함께 嵩華에 노닐면서 仙藥을 먹었다고 했다. 崔浩와 가까운 사이로 서로 信奉하였음.
구경[팔역가(八域歌) 26 페이지 / 전적]
주역, 시경, 서경, 예기, 춘추, 효경, 논어, 맹자, 주례, 혹은 주례, 의례, 예기, 좌전, 공양전, 곡량전, 주역, 서경, 시경 등
구경 처(處)[옥셜화답 3 페이지 / 전적]
구경하는 곳.
구경(求景)[백발가(白髮歌) 8 페이지 / 전적]
흥미나 관심을 가지고 봄.
구경지단(九經之端)[창덕가2 73 페이지 / 전적]
공자가 주창한 천하국가를 다스리는 데 긴요한 아홉 가지 법도인 구경(九經)의 단서.
구경지단(九經之端)[창덕가2 74 페이지 / 전적]
공자가 주창한 천하국가를 다스리는 데 긴요한 아홉 가지 법도인 구경(九經)의 단서.
구경지은(究竟之恩)[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8 페이지 / 전적]
끝없는 은혜.
구경하(具慶下) 순소(純素)[ 1 페이지 / ]
부모가 모두 살아있어 복된 사람, 또는 그 가정. 심의(深衣, 선비들이 입던 웃옷)의 갓을 흰 비단으로 장식하는 것.
구경하(具慶下) 순소(純素)[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6 페이지 / 전적]
부모가 모두 살아있어 복된 사람, 또는 그 가정. 심의(深衣, 선비들이 입던 웃옷)의 갓을 흰 비단으로 장식하는 것.
구경하(具慶下)[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17 페이지 / 전적]
부모가 모두 살아있어 복된 사람, 또는 그 가정.
구경하(具慶下)[자경별곡 9 페이지 / 전적]
부모가 모두 살아있어 복된 사람, 또는 그 가정.
구고 부군(舅姑夫君)[청춘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시부모(媤父母)와 남편.
구고 효봉(舅姑孝奉)[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시부모(媤父母)께 효를 다하며 모시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