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8,590개

교사(狡詐)[흥비가 5 페이지 / 전적]

간사한 꾀로 남을 속임.

교사(驕肆)[창덕가2 46 페이지 / 전적]

교만하고 방자함.

교사(驕肆)[창덕가2 47 페이지 / 전적]

교만하고 방자함.

교산(喬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 페이지 / 전적]

『喬山』- 黃帝의 陵인데 여기는 임금을 생각하는 뜻으로 쓴것임. 선생의 삼십 육세 때에 仁宗이 그 해 七月 升遐하였는데 이듬해 仁宗의 初朞를 만나자, 술을 가지고 집 남쪽 卵山에 들어가 밤새도록 통곡하고 돌아왔다. 이후 每年마다 이와같이 하였으므로, 松江 鄭澈의 詩에 『年年七月日 痛哭卵山中』이 있음.

교상(膠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3 페이지 / 전적]

「膠庠」―周의 學名임. 禮記王制에「養國老於東膠 養庶老於虞庠」이란 대문이 있으므로 後에 因襲하여 學宮의 通稱을 膠庠이라 함.

교송(喬松)[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2 페이지 / 전적]

「喬松」-古代의 神仙으로 王喬, 赤松子를 合稱한 것임.

교시가[권왕가 13 페이지 / 전적]

미상

교심(驕心)[별교사(별교) 3 페이지 / 두루마리]

잘난 체하며 뽐내는 마음.

교심(驕心)[벌교사(벌교) 8 페이지 / 전적]

잘난 체 하는 마음.

교씨(橋氏)[녁대가(녁가) 51 페이지 / 전적]

주유(周瑜)는 손견의 아들 손책과 함께 형주의 많은 지역을 점령하였는데 이때 교공(橋公)의 두 딸을 포로로 생포하였음. 이들은 절세의 미인으로 언니 대교(大橋)는 손책의 아내가 되었고 동생 소교(小橋)는 주유의 아내가 되었음.

교양(敎養)[해몽가라(몽가라) 13 페이지 / 전적]

가르치고 기름.

교언영색(巧言令色) 아유구용(阿諛苟容)[ 1 페이지 / ]

남에게 아첨하는 말과 태도. 남에게 아첨하는 구차스러운 모양.

교언영색(巧言令色) 아유구용(阿諛苟容)[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2 페이지 / 전적]

남에게 아첨하는 말과 태도. 남에게 아첨하는 구차스러운 모양.

교언영색(巧言令色)[명륜가(明倫歌) 67 페이지 / 전적]

남의 환심을 사기 위해 교묘히 꾸며서 하는 말과 아첨하는 얼굴빛.

교언영색(巧言令色)[로인가 14 페이지 / 전적]

아첨하는 말과 알랑거리는 태도.

교언영색(巧言令色), 아유구용(阿諛求容)[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25 페이지 / 전적]

남에게 아첨하는 말과 태도, 아유구용(阿諛苟容). 남에게 아첨하는 구차스러운 모양.

교언영색(巧言令色),아유구용(阿諛求容)[자경별곡 16 페이지 / 전적]

남에게 아첨하는 말과 태도. 아유구용(阿諛苟容). 남에게 아첨하는 구차스러운 모양.

교언영색(巧言令色),아유구용(阿諛求容)[권학가 1 페이지 / 전적]

남에게 아첨하는 말과 태도. 아유구용(阿諛苟容). 남에게 아첨하는 구차스러운 모양.

교여(喬女)[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5 페이지 / 전적]

교여출일(皦如出日)[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6 페이지 / 전적]

밝기가 해가 솟는 듯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